나는 글쓰기 모임에서 만난 모든 글을 기억한다 - 계속 쓰는 사람 정지우의 연결과 확장
정지우 지음 / 해냄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엉망진창인 느낌, 잘 살아오지 못한 것 같은 아쉬움, 마음속에 시커먼 구름이 잔뜩 끼어있는 것 같은 답답함. 무엇이 문제인걸까. 시대일까. 나인걸까.

'글쓰기란 우리 시대가 저질러놓은 어지러움들이 모여 찾아갈 수 있는 해방구나 탈출구'란 글을 보니 울컥 뭔가 치밀어오른다. 글의 힘이란 이런거지. 저자의 글쓰기 모임에서 만나 사람들이 그랬다더니, 정말 누군가를 살리는 글을 잘 쓰는 사람이로구나.


제목부터가 '배려심'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그동안 글쓰기 모임에서 만난 글들이 어디 한 둘 이었겠는가. 그 글들을 다 기억하고 있다고? 기억력이 좋다는걸 말하는게 아니란걸 안다.

글쓴 사람들도 세상밖으로 글을 내놓는 일이 힘들었겠지만 그 글을 읽어주고 기억해주는 사람이 있다는건 얼마나 큰 위로인가. 글이라는건 또 다른 나의 영혼이라는걸 안다.

그걸 알아주는 사람, 기억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흐릿하던 자존감이 뚜렷해진다.


이 책 말고 저자의 글을 읽은 적은 없다. 하지만 곧 찾아 읽어보고 싶다. 매년 생일과 결혼기념일마다

서로에게 편지를 쓰는 사람이라면 꽃다발같은 글들이 기대되지 않는가.

글이란게 다 꽃다발같을 수는 없겠지만, 그래서 글을 쓴다는게 어렵다고 느껴지기도 하지만 글을 쓸 수밖에 없었다고 오래전 내가 아는 작가는 고백했었다. 무녀가 신을 모시듯, 그렇게 몸안에 각인된 무(巫)기를 꺼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지금도 나는 글을 쓰고 있다. 이 글을 누군가 읽어주면 참 좋겠다. 그래서 용기를 내어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들었으면 좋겠다. 저자의 말처럼 외로운 일일 수도 있고 고단할 수도 있다. 내가 아는 많은 작가들이 글로 밥을 벌어먹는 일을 많이도 힘들어한다.

그래서 나는 다행이라고 생각했었다. 쓰지 않으면 견디지 못하는 운명을 타고나지는 않아서.

일찌감치 글로 밥을 벌겠다는 생각을 접어서. 그냥 밥하고 상관없이 글을 쓸 수 있어서.


저자를 검색해보니 얼마전 강연이 있었다. 진즉 알았다면 꼭 가서 들어보았을 것이다.

말도 글처럼 진솔하고 위안을 주었을 것이다.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주어서 고마웠다. 잘쓰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용기가 생겼다.

'완벽하지 못한 건 죄악이나 실패가 아니라, 또 다른 의미의 성공'이라고 말해주어서 멋지다.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인연이어서 많이 감사하다. 딸과 같은 나이인데 이렇게 잘 살아가고 있다니 얼마나 기특한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