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회사만 다니다 인생 종쳤다 - 떠났을 뿐인데 수입 30배를 달성한 비결
나가쿠라 겐타 지음, 김진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대학을 나와 대기업이나 공무원으로 취업을 해서 은퇴전까지 직장생활을 하는 것이 전형적인 우리 시대 사람들의 사회생활이었다.

하지만 불황이 닥치면서 조기 퇴직이나 명예퇴직이 늘어나서 너무 이른 나이에 직장을 나와 자영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그 수많은 자영업자들중 살아남은 사람은 별로 없다.

이제 직장의 개념도 많이 달라졌다. 코로나 팩데믹 이후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사라지는 직업, 새로 생기는 직업도 있다. 전통적인 사회생활이 엄청나게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성실하게 은퇴시기까지 따박따박 월급을 받아왔던 회사생활은 서서히 다른 모습으로 진화될 것이고 저자는 일찍부터 이 변화를 스스로 겪으면서 수입을 증대했다고 한다.


인류는 원래 정착하면서 산 종이 아니었다. 계속 이동을 하면서 진화되어온 종이다.

농경사회가 되면서부터 정착이 일어났고 뇌의 크기도 작아졌다고 한다. 이 뇌의 크기가 과학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동을 통해 가장 적절한 장소를 골라내고 천적을 막아내는 능력은 분명이 작아졌거나 사라졌을 것이다. 저자는 이 이동능력이 되살아나야만 경직되었던 생각이 바뀌고 행동이 달라지면서 적극적인 삶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실 서울에서 살다가 주변 도시로 이동하는 일도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직장을 옮기고 이사를 하거나 학교를 전학하는 일에는 큰 결심이 필요하다. 하지만 저자는 심지어 일본의 다른 지역도 아니고 하와이나 샌프란시스코같이 다른 나라로의 이동도 어렵지 않게 결정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 자리에 있을 때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보이고 생각이 바뀌고 수입까지 바뀌었다니 정말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과거에는 성실하게 월급만 모아서도 집을 살 수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월급을 한 푼도 쓰지않고 모아도 집을 살 수가 없다. 그러니 젊은 세대들에게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고 절망만 하고 포기할 것인가. 저자의 조언대로 여러가지 일을 하면서 돈을 벌겠다는 생각 보다는 여러가지에 대응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변화하는 사람-이동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는 것을 깨닫게 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