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만난 월든 - 정여울이 직접 걷고, 느끼고, 만난 소로의 지혜
정여울 지음, 이승원 사진 / 해냄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데이비드 소로'란 인물을 떠올리면 '은둔자', '자연주의자'라는 이미지가 떠오른다.

미국 건국후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에 태어나 하버들 졸업한 소로는 고향에서 잠시

교사로 일하지만 억압적인 학교 분위기를 반대하며 그만두게 된다.


생계를 위해 다른 일을 해보기도 하지만 결국 월든호숫가에 오두막을 짓고 2년 2개월동안 살게된다.

그는 시인이자 초월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 에머슨의 권유로 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이 글들이 후일 그의 작품들의 토대가 되었고 자연과 인생의 진실을 담은 사색으로 시대를 뛰어넘는 위대한 가르침으로 남게 된다. 이 책의 저자인 정여울에게 소로는 영혼의 멘토이다.

그가 살았던 월든의 오두막을 따라가는 여정은 소박하고 아름답고 간결하다.


소로가 1844년 친구와 함께 강에서 잡은 물고기를 구워 먹으려다 실수로 거대한 숲을 태우게 되는데 소로는 이 일이 평생 죄책감으로 남겼지만 불탄 숲이 더 풍요롭고 아름다운 숲으로 부활하는걸 보고 놀라게 된다. 마치 인간의 실수를 아무 대가 없이 용서라도 해주듯이 다시 피어나는 위대함에 깊은 감동을 받은 것이다.

아마 이 사건이 그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소로의 신념은 강력했다. 옷 한벌과 발을 겨우 뻗을 정도의 오두막에서 최소한의 먹을거리로 살아가는 일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온갖 범죄를 예방하고 삶의 본질에 더 가깝게 다가가는 것임을 믿었다. 저자도 이런 소로의 신념에 감동을 받은 것 같다.


아 정말 월든의 오두막은 생각보다도 작았다. 소로에게는 거대한 저택같았을지 모르겠지만.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들을 갈망하고 소유했다. 그러면서도 또 욕망은 멈추지 않는다.

소로처럼 자연과 함께 소박하면서도 간결하게 살고 싶었던 저자의 월든으로 향하는 여정은 시원한 샘물을 마시는 것처럼 갈증을 달래주고 마음을 순하게 정화시켜주었다.

저자처럼 월든까지 닿을 수는 없겠지만 이 책을 통해 거닐어본 호숫가에는 조용함과 평화가 깃들어 잔잔한 울림으로 다가왔다. 감사한 여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