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랭브릿지 옮김 / 리프레시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소설이 1774년 발간된 책이라니 250년 전에, 아니 그 전에 괴테에 의해 쓰여졌다는 것이다.

편지체와 다소 고풍스러운 표현등으로 인해 매끄럽게 읽히지는 않지만 사랑에 빠진 젊은 화가 베르테르의 심리를 이렇게 잘 표현할 수 있을까 감탄하게 된다.


사랑해서는 안될 여자를 사랑한 베르테르는 롯테를 바라보며 기쁨과 슬픔, 그리고 절망을 느낀다.

그녀가 이미 약혼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네 이웃들과 교류를 해나가면서 정을 쌓아가는 과정도 애틋하다.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남편이 떠난 여인을 위로해주기도 한다.

나이 많은 과부 주인을 좋아하는 하인의 이야기에서 자신의 처지와 같은 공감을 하면서도 응원해줄 수가 없다.


빌헬름이란 친구와 나누는 편지식의 대화는 시를 읽는 듯도 하고 기도문을 보는 것도 같다.

당시에는 종교적으로 매우 엄격한 시대였기에 도덕이 지켜지는게 당연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결혼을 약속한 남자가 있는 여자로 향하는 사랑의 마음을 숨길 수 없었던 베르테르는 점점 파멸의 길로 향한다.


주체할 수 없는 감정과 그걸 이기려는 이성사이의 번민과 고통을 이렇게 잘 그려낼 수가 없다.

역시 거장 괴테다운 문장이다. 실제 존재했을지도 모를 화가 베르테르의 그림처럼 삽화역시 생생하게 되살려내어 소설의 현실감을 더해준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랑'에 대한 열망은 뜨겁고 애틋하기만 하다. 자신의 사랑이 죄라고 괴로워하던 베르테르가 어느 드라마의 유명 대사처럼 '사랑이 죄는 아니잖아'를 들었다면 위로가 되었을까.

이 소설의 배경이 된 마을도 사람들도 사라졌지만 사랑과 절망에 대한 감각은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이 작품이 인간의 본질과 삶을 제대로 표현한 고전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 불멸의 작품은 대를 이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