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같아도 혼자 사는 엄마가 무능하고 추레한 남자를 '새아빠'라고 데리고 들어오면 받아들이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게 아저씨를, 그의 딸 유미를 미워했던 현주를 이해하면서도 유미가 왕따를 당하고 고통받는 것에도 무관심하게 내버려둔 현주의 냉혈함은 너무하다 싶었다.
하지만 엄마의 실종이 살해사건으로 밝혀지고 그동안 믿어왔던 일들이 다 거짓임을 알게 되었을 때 그건 배신이라기 보다는 '댓가'였다고 생각하게 된다.
오로지 위만 쳐다보고 살아온 현주가 위장된 자신의 삶과 제대로 맞닥뜨리는 장면에서는 안타까움보다는 자신이 뿌린 씨앗을 거두는 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독한 판단인가.
'세상은 보이는 것보다 더 무섭다'라는걸 보여준 소설이었다. 인간은 이기적이고 욕망에 충실하다 못해 악을 저지르는 것에 아무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이 소설에서 진정한 승자는 누구인지, 누가 가장 인간다운 사람이었는지 되짚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