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디츠 - 나치 포로수용소를 뒤흔든 집요한 탈출과 생존의 기록
벤 매킨타이어 지음, 김승욱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컬처블룸카페를 통해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콜디츠성은 독일 몰데강에서 45미터 높이로 솟은 산꼭대기에 있다.

성을 목적은 통치자의 힘을 보여주고 적에게 겁을 주고 포로를 감금하는 것. 2차세계대전중 콜디츠성은 이 목적을 아주 훌륭하게 해낸다.


독일에게 침공당하고 포로가 된 수많은 나라의 군인들이 콜디츠로 감금되었다.

다국적 포로수용소가 된 것이다. 하지만 포로가 된 군인들의 탈출 시도가 이어진다.

누군가는 성공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다시 붙잡혀 오기도 한다. 독일 병사에게 뇌물을 주고 거의 탈출에 성공하는 듯 했지만 독일군의 덫임이 밝혀지면서 독일군이 진급을 하거나 돈을 벌기도 했다.


프랑스군인 르레이의 탈출극은 영화처럼 멋졌다. 독일군은 창이 뚫고 들어오지 못할 방패를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그 프랑스군이 방패를 뚫고 탈출을 한 셈이다. 탈출이 성공할 때마다 더욱 강력한 탐조등이 설치되고 벽은 높아졌다.


콜디츠를 탈출한 또 다른 프랑스군인 메레스르브룅은 탈출전 자신의 감방에 있는 가방에 이런 라벨을 붙여두었다. '만약 내가 성공할 경우, 내 소지품을 다음의 주소로 보내주면 고맙겠소..'독일군은 정중하게 이 가방을 그 주소로 보내주는 친절함을 보여주었다.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니. 사람들이 서로 죽이고 파괴시키는게 전쟁 아니었나?

포로에 대해서는 인간적인 대우를 해주었다는 것이 여러 기록에서 나온다.




'콜디츠 올림픽 대회'가 열렸다는게 믿어지는가. 종목도 다양했다. 하긴 감옥에 갇힌 포로들에게 생기를 더해주기 위한 장치로 스포츠만한게 없을터였다.

YMCA가 경기용품을 보냈고 각국을 대표한 포로들의 경기는 열기로 가득했다고 한다.

'폴란드인은 죽도록 진지하고, 프랑스인은 원기 왕성하고, 네덜란드인들은 엄숙하고, 벨기에인은 프랑스인을 따라하고, 영국인은 그냥 웃었다' 이 얼마나 위트있는 표현이란 말인가. 딱 그 민족들의 성향을 아주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전쟁과 포로수용소의 이야기라 어두울 것 같지만 아주 재미있는 부분이 많다.

말하자면 콜디치성 안에서는 또 다른 전쟁이 벌어지는 셈인 것이다. 계급간의 갈등이나 배신 욕망과 광기, 희망과 절망이 교묘하게 섞인 포로수용소의 모습이 인간세상을 축소시켜놓은 것 같았다. \

그리고 이 모든 이야기들이 실화이기에 더욱 가슴에 와 닿았다.

전쟁이 끝난 후 콜디츠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문득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