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이론
콜린 아담스 지음 / 경문사(경문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듭이라 하면 끈을 묶거나 꼬아서 여러 모양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쉽게 우리 나라 전통 한복을 입을 때 드리우는 노리개같은 걸 보면 예쁜 매듭모양이 보인다. 이 매듭의 꼬임새가 다양하고 아름다워서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기도 한다.



이 매듭이 수학적 이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그냥 얼핏보면 매듭을 다양하게 만드는 법이 소개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이 매듭이 수학이론으로 진화되고 증명되는 것을 보게 된다. 오호 놀라운 대입이론이 아닐 수 없다.


심지어 이 매듭은 단순히 모양을 위한 꼬임뿐만이 아니라 마술에도 응용이 된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사람에 따라, 일터에 따라 쓰임새에 따라 매듭의 모양도 차별화되어있음이 떠올랐다.

언젠가 선원들이 즐겨묶는 매듭법으로 인해 살인사건이 해결되는 것을 보았다. 매듭에게도 지문같은 것이 있다고 생각된다.


모든 이론이 그렇지만 처음부터 인정을 받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최초의 매듭 이론이 물리학자 톰슨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후 발전해나와 지금의 안정된 이론으로 정착되었단다.

인류은 역시 위대한 존재임을 다시 깨닫게 된다. 얼핏 이 매듭이 수학적으로 설명되고 증명되는 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런 이론을 생각하고 정리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도 참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다.


어쩌면 무척이나 어려운 매듭이론은 주로 대학원생이나 학부의 고학년을 위한 것으로 상당한 고급 수학이라고 하는데 다행이 이 책은 학부의 저학년생이나 중, 고등학생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나는 너무 어렵지만.

일단 그림대로 매듭을 묶어보는 것부터 시작해볼까나. 그러면 그렇게 싫어하던 수학이 조금쯤은 좋아질지도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