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튜드 - 오롯이 나를 바라보는 고독의 시간
요한 G. 치머만 지음, 이민정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독'이란 단어에서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환한 햇살보다는 어두운 그림자나 회색, 우울같은 것들이 더 떠오르지 않는가.

이 책의 저자는 1728년 스위스에서 태어나 대영제국 국왕 조지 3세의 개인 의사였던 사람이라고 한다. 의사라는 직업이 대단하게 환영받았는지는 모르겠지만 대영제국의 국왕을 치료했던 의사라면 명성이 꽤나 대단했던 사람은 분명해보인다.


중요한 것은 그가 명망있는 의사였다는 사실보다 그 시절에 이런 철학서? 혹은 사상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거침없이 쓰고 남겼다는 사실이었다. 지금처럼 SNS가 필수였던 시절도 아니니 오히려 사색에는 더 집중하기 좋았던 점도 유리하게 작용은 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고독'이라는 한 가지 주제에 이토록 방대한 풀이를 해놓은 것은 정말 대단한 일 아닌가.


당시의 사회상까지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부와 빈의 경계가 뚜렷했을 것이고 무분별한 모임이나 파티도 유행했을 것이다. 그게 가장 즐길거리였던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분위기에서 '고독'이나 '사색'이라는 주제는 자칫 주목받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고독'이란 여과장치가 강력하게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그 때 이미 알았다는 것은 정말 혜안이 뛰어난 사람임을 증명하고 있다.


저자 이전에도, 이후에도 수많은 철학자, 사상가들이 고독에 대해 많은 해설과 저서를 내놓았다.

그럼에도 이 책이 그 때에도 지금에도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것은 고독에 대해 정확이 꿰뚫어보고 그 여과장치가 어떤 때, 어떻게 쓰여야하는지를 지적했기 때문이다.

마치 칼의 양날처럼 고독이 어떻게 쓰여야 약이 되고 독이 되는지를 루소의 예를 들면서 설명을 해놓았다.


우울증을 심하게 앓는 사람에게 '고독'은 자칫 독이 되기도 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그 뒤에 숨어서도 안된다는 말은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숨는 시간이 길어질 수록 햇살밖으로 나오기는 더 힘들다는 것을 나는 안다.

그럼에도 이따금 은둔, 혹은 고독속에 잠시 머무르지 않으면 우리는 제대로 살 수 없다.

뒤죽박죽 헝클어진 창고를 차분히 정리하는 것 같은 '고독'은 절대 필요하다.

너무 고독해서 외롭고 우울해지기도 하지만 번잡한 현대사회에서의 고독은 엉킨 실을 풀어줄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마음의 정화를 위해 가끔은 고독해져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