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주영이다 - 자본도, 기술도, 경험도 없이 현대를 키워낸 신념의 세계 나는 누구다
박상하 지음 / 일송북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컬처블룸카페를 통해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대한민국은 위대한 나라이다. 일제강점을 거치고 민족분단의 전쟁을 거친게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잖은가. 그럼에도 이렇게 '한강의 기적'을 일구고 OECD 상위국으로 진입하는 괴력을 보여준 나라다. 그런 나라의 국민으로 태어나고 살아온 것이 참 감사한 일이다.


정주영이 그 많은 시대, 국가가 있었건만 강원도 통천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것은 운명이었다고, 대한민국에게 희망을 주기위한 신의 감사한 계획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가 일궈온 수많은 기적들을 보면 그가 과연 혼자만 이런 일을 해낼 수 있었을까 싶다.

신의 도움을 없었다면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이루어낼 일이 아니라고 생각할 정도이다.

내가 기억하는 정주영이란 인물은 나이 많은 할아버지 정도랄까. 12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니 만약 살아있더라면 지금 110살이 되었을 것이다. 정말 그가 지금까지도 살아있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평범해 보이는 외모와는 달리 세상을 보는 눈과 끈기, 부지런함등을 타고난 정주영이 일군 업적은 대한민국이 평생 감사해야 할 일들이다. 그가 걸어온 족적들을 보니 알았던 얘기들도 있지만 전쟁중에 미군의 공사를 따서 일을 했다는 것을 알지못했다.

몇 년전 방영했던 '재벌집 막내아들'이 자꾸 떠올랐다. 재벌인 주인공이 힘든 상황이 되자 자신이 젊어서 차를 수리하고 조립했던 현장을 찾아갔던 장면! 아마 이 드라마중 상당 부분이 정주영을 모델로 했을 것이다.


'블도저'라는 별명만큼이나 몰아부치는 성격탓에 곁에 있던 사람들중에는 상처를 받는 이들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주영 자신조차 자신에게 엄격했던 만큼 그의 진심을 알아봤을 것이다.

후일 그 일에 대해 미안하다고 하는 글을 보니 그의 내면에는 따뜻함이 흐르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된다. 돈암동 집에서 20명의 가족이 복닥거리며 살았던 시절 힘들 제수씨를 데리고 영화구경을 갔다고 하지 않은가. 그런 배려의 마음이 그의 경영철학에도 분명 더해졌으리라 믿어진다.


굳이 왜 정치판에 뛰어들었을까는 참 궁금한 점이다. 저자의 예측처럼 그의 후일담중 유추가 가능해보인다. 그 성격에 집권세력에 의해 무너졌던 상황들이 내내 가슴에 한처럼 쌓였을 것이다.

그래서 바꿔보고 싶지 않았을까.

가난한 나라에서 가난한 농부로 태어나 겨우 초등학교만 나온 정주영이 일군 업적을 그런 식으로 빼앗고 모욕했다는 것은 지금 지하세계에 있을 인물들이라도 정주영을 찾아가 사과했야한다고 생각한다.

내 차도 현대자동차고 정말 만족하는 브랜드이다. 정주영의 한 발자욱이, 노력이, 내 삶에도 들어온 것이 감사할 뿐이고 하늘에서도 대한민국을 잘 이끌어주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