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지 않은 사람은 없다
이의석 지음 / 바른북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정신의학과란 병원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아프지 않은 사람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는데 병원수도 적었고 무엇보다 '정신병'에 대한 안좋은 인식때문에 병원이 조금 숨어있었던

것 같다. 지금은 동네마다 정신의학과가 보일 정도로 환자들이 많아진 것일까. 아님 숨겨왔던 아픔을 드러낼 정도로 인식이 좋아진 것일까.


사실 1년 전쯤 충격적인 일을 겪은 딸이 너무 힘들어하면서 정신의학과를 다니고 있다.

상담으로 마음의 아픔을 조금씩 덜어내기도 하고 약으로 처방을 받아 잘 버티고 있는 것 같지만 늘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보고 있다. 나 역시도 그 일로 트리거가 된 것인지 가뜩이나 나이가 들면서 우울증이 오기 시작했는데 더 심해져서 의욕도 없어지고 식욕마저 사라지는 현실을 겪으면서도 선뜻 병원을 찾을 용기가 없달까, 여전히 가야하는데 하는 마음만 먹고 있다.


의사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전생에 업이 많았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어느 종목이든 쉽지 않은 직업이 아닌가. 몸이 아프던 마음이 아픈 환자들을 만나야하고 생명과 직결되는 치료를 해야하는 책임감이나 스트레스가 훨씬 많을 수밖에 없는 직업이다. 나도 딸아이가 병원을 다녀오면 무슨 상담을 했는지 묻곤 하는데 '그렇게 마음 아픈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주는 의사는 어떻게 자신의 무거움을 내려놓는대?'라고 묻는다. 내가 정신의학과를 다니는 환자라면 여기 저자의 사례처럼 묻고 싶었을 것이다.


몸의 아픔을 치료하는 의사들은 수련과 많은 임상치를 쌓으면서 실력을 늘려가겠지만 정신의학과 의사들은 여기 저자처럼 실제 자신이 겪었던 일들이나 독서같은 걸 통해 많은 도움을 받는 것 같다.

너무 곱게 큰 걱정없이 자라온 사람보다 자신도 어려움을 겪고 이겨낸 경험치가 상담에 더 큰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그런 점에서 저자처럼 전학도 많이 다니고 실제 공황장애를 겪어본 경험이 환자치료에 도움이 되었다고 고백한다. 아픔에 공감할 수 있는 의사가 환자에게 더 큰 위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 치료를 하는 사람들도 일정 기간이 되면 사기(死氣)를 덜어내기 위해 좋은 터를 찾아 자가치료를 한다고 한다. 저자처럼 홀로 여행을 떠나보거나 명상을 하거나 해서 자신의 무거움을 덜어내는 것 같다.

어느 병원에 의사이신가 싶어 검색을 해서 찾아냈다. 집에서 멀지 않으니 조만간 찾아가볼까.

사진으로 만나보니 퍽 자상해보이고 푸근하게 느껴진다. 아마 많은 환자들이 나처럼 망설이고 고심하다가 병원문을 열었을 것이다.

'마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라는 말이 마음에 고인다.

나의 골든타임은 아직 남아있는 것일까.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이 책으로도 많은 위안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