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가 말하는, 나는 왜 자꾸 비교하는가
민유하.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분제가 없어진 세상이라고는 하지만 우리는 암암리에 강남 펜트하우스에 사는 누군가와 비교하면서 중산층정도는 되지 않나 하고 스스로 계층속에 갇히곤 한다.

결국 누구와 비교해서 그 우위에 서야만 만족스럽고 성공했다고 위안이 되는 것이다.


이런 비교가 얼마나 어리석은지 알면서도 나도 모르는 새 또 비교를 하게 되는 것이 인간이다.

'남과의 차이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는 순간 변화는 시작된다'는 아들러의 말을 200% 공감하면서도 실천하기는 무척 어렵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다.


혹시라도 나와 비슷하거나 요즘 더 잘나가는 누군가가 있다면 SNS를 찾아보며 엿보기도 한다.

냉정하게 생각하면 참 피곤하게 사는 것이다. 초연하고 싶고 무시하고 싶지만 어떻게든 틈을 찾아내고 싶고 그 사람보다 더 잘해야겠다고 다짐하기도 한다. 그런 점은 좋은 것일까.


우리나라 사람들의 단점이면서 장점으로 꼽히는 '빨리 빨리'는 우리를 성장시키기도 했지만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도 했다. 어디가서도 너무 조급한 사람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태생이 그런지라 고치질 못한다. 선승들의 가르침대로 덜어내는 법을 익히려고 하고 내 속도대로 살고 싶지만 정말 어렵다.


열등감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겉으로 봐서 거의 완벽해보이는 사람들도 남모르는 열등감을 느낄 것이다. 이 열등감을 성장의 자극으로 삼으면 장점이 되지만 회피하면 결국 도망자가 되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더 무서운 건 자기 합리화가 쌓이게 되는 것이다. 스스로도 자신을 믿지 않게 되고 타인을 향한 감정이 왜곡되고 비교의 감정이 질투로 바뀌면서 정말 찌질이가 되는 것이다.

'흔들리지 않는 나만의 기준을 세우는 법'

아 멋진 말이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럼에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으니 너답게 살아가라는 말이 위안이 된다.

독일의 철학자인 아들러의 수많은 조언들은 과거에도 그렇고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자존감을 회복시켜주고 불안을 해소시켜준다. 오늘은 잠을 푹 잘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