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뇌과학 - 반려견은 어떻게 사랑을 느끼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이주현 옮김 / 동글디자인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가 인간보다 우월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난 그렇게 결론내렸다.

과학적인 발전을 이룬 존재이니까, 지능이 높으니까, 인간종보다 우월한 동물종은 존재하면 안된다는 오만한 존재이니까...혹시 인간이 더 우월하다는 자만심은 없었던걸까.


현대에 있어 인간과 가장 친숙하면서도 공감을 나누는 동물은 단연 개라고 생각한다.

늑대와 같은 조상을 지닌 개는 늑대와는 아주 다른 종으로 진화해왔다고 한다. 인간은 늑대를 가장 친밀한 종으로 개종시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을 것이고 순전한 이기심이었을 것이다.

어찌되었든 개는 인간의 삶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조력자로 지금 우리와 함께 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반려견을 키우는 집들이 늘어나면서 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지만 과연 인간이 행복해진 만큼 개들도 행복하게 생각하고 그런 삶을 살고 있을까.

이 책의 저자는 심리학자이면서 뇌과학자로 인간과 가장 가까이 살고 있고 가장 친밀하게 소통하는 개의 뇌에 대해 연구하기로 결심했다. 일단 개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건 뇌과학자로의 호기심도 있었겠지만 자신이 만나 가족이 된 개들과의 인연도 한 몫한게 아닐까 싶다.


유기견이었던 캘리를 동물보호소에서 데려온 것은 연구를 위한 것은 아니었다.

저자 자신이 인간을 대신하는 동물연구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었고 오히려 존중해줘야 하는 존재로서, 한종의 개체로서 온전히 대접하고 싶은 마음으로부터 시작된 일인 듯했다.

일단 그 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블로프의 기계적인 실험이 아닌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했고 뇌의 구조, 어떤 신호에 대한 특별한 뇌의 변화같은 걸 알아내기 위해 MRI촬영을 시도한다.


그 과정은 정말로 지난했다. 일단 활동성이 심한 개를 좁은 통속에 집어넣는 일 자체가 문제였다.

캘리가 핫도그를 좋아했던 것은 정말 행운이었다. 개의 아주 일반적인 특성인 '보상'으로 훈련을 시작한 셈이다. 보통 개를 훈련시키는 장면에서 흔히 등장하는 훈련법이다.

그렇게 시작된 MRI촬영에 대비한 훈련에서 캘리는 정말 영리하고 우수한 면을 보여준다.

실제 핫도그로 인해 두려움을 없앤것은 사실이지만 그 사실 하나만으로 캘리가 MRI기계에 선뜻 들어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자신을 사랑하고 믿어주는 견주, 저자를 이해했기 때문이라고.

물론 인간의 뇌구조와는 현저하게 다를 것이란 생각은 했고 결과가 몹시 궁금했다.

하지만 실제 캘리의 노고로 찍힌 MRI사진으로 개의 모든 걸 알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당연하다.

인간을 MRI로 다 진단하고 평가하고 단정할 수 없듯이 말이다.

뇌를 촬영해서 얻어낸 결과값보다 그 것을 향해 함께 노력했던 저자와 연구진들과의 과정들이 더 값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내가 얻어낸 결론은 인간이 결코 개보다 우월하지 않다는 것이다.

인간이 개보다 더 충성스럽고 계산적이지 않고 선한 존재라고 단언하겠는가?

어느새 8년을 함께 산 나의 사랑 토리에게 다시 추앙의 마음을 보내고 싶어졌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