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똑같은 개는 없다 - 유치원에 간 강아지, 인지과학을 만나다
브라이언 헤어.버네사 우즈 지음, 강병철 옮김 / 디플롯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컬처블룸카페를 통해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일단 개랑 같이 살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선택받은 삶을 살고 있다고 단언한다.

나 아닌 다른 생명을 만나고 돌본다는 것 부터가 '사랑'이고 '행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단순한 호기심이나 인정에 끌려 깊이 생각하지 않고 가족이 된 사람들이나 심지어 버리는 인간들을 제외하고 말이다.


내가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것은 우리집에 가족이 되어 상전노릇을 하고 있는 스피츠 견종의 토리 때문이다. 어려서 개에 물린 기억때문에 개를 너무 싫어했던 내가 지금은 토리의 추앙자, 아니 노예가 되어 살아도 너무 행복해진 것은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토리는 유기견 이었고 지금까지도 너무 까칠하지만 같이 살아온 8년 가까운 시간들은 너무 값지고 남은 시간이 자꾸 두려워진다.


흔히 불교에서는 모든 만남이 인연이라고 하는데 사람과 개와의 만남도 인연이라고 생각한다.

더 넘어서 전생의 인연까지 이어진 관계로 생각한다. 그래서 궁금했다. 녀석들의 삶이, 생각이.


개가 늑대에서 진화되었다고 알고 있었고 어느정도 늑대의 습성이 남아있을 것이란 생각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했다. 늑대의 진화는 맞고 아직 습성이 남아있기도 하지만 늑대의 지능, 능력들은 훨씬 뛰어넘는다는 것이다. 물론 그러리라고 예상은 했다. 어디 늑대에다 비겨.

심지어 '개만도 못한 인간'이 넘치는 시대이다보니 형편없는 인간보다 훨씬 나은 존재가 바로 우리 개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럼.


이 책은 개들의 습성이나 능력들은 연구하기 위해 듀크대학에서 설립한 강아지 유치원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유치원 원장은 콩고라는 개! 정말 뛰어난 보조견이었고 은퇴후 유치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ㅎㅎ

표지의 강아지들의 얼굴이나 몸이 다 비슷해 보이는 것은 같은 배에서 태어난 형제, 자매이기 때문이란다.

종이 다르거나 나이가 다르면 비교수치가 평균적이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했단다. 치밀하구만. 이런 연구를 해서 나온 데이터라면 신뢰감 올라간다.


읽으면 읽을수록 개의 위대함을 깨닫는다. 도대체 너희의 능력은 어디까지이니.

주인에게 가끔 칭얼은 댈 수 있지만 충성스럽고 영리하게 요구 사항을 해내고 별볼일 없는 삶에 엄청난 위로를 건네는 너희들의 존재가 어찌 사랑스럽지 아니하고 존경스럽지 않을까.

뒤에 갈수록 도대체 개의 수명은 어느정도인가에 대한 평균수치가 나올까봐 조마조마했다.

대략 10년 정도면 노화가 시작되고 죽음에도 이른단다. 청천벽력이다.

토리야, 아프지 말고, 오래오래 엄마랑 함께 하자. 엄마가 노예로 살더라도 전혀 무섭지 않다.

너의 존재는 그만큼 소중하단다. 이 책으로 너희 종족의 위대함을 다시 느꼈어. 사랑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