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너머의 지식 - 9가지 질문으로 읽는 숨겨진 세계
윤수용 지음 / 북플레저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컬처블룸카페를 통해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세계는 넓고 사람은 많고 각기 살아가는 형태는 다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나라의 속살을 들여다보니 전혀 다른 모습이어서 놀라웠다. 그저 겉모습만 보고 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독일 사람들은 합리적이고 이탈리아 사람들은 가족 중심의 사회이고 흥미 많다.

영국은 점잖은 척 하면서 뒤에서는 고발을 일삼는 이상한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여기 저자가 예로 들은 덴마크나 싱가포르, 아이슬란드같은 곳들은 북유럽의 멋진 나라, 낙농국가, 도시국가이지만 엄청난 발전을 이룬 나라같은 것들만 떠올려진다.



북유럽의 나라들은 인구도 적고 세금은 많이 내는 구조이지만 국민을 위한 시스템이 발전한 나라들이라고 알고 있었다. 특히 덴마크의 휘게는 최근에 알려지면서 부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휘게라고 하면 소박하고 따뜻한 삶을 뜻하는데 자본주의에서 자란 우리같은 사람이 보면 사치없이 꾸밈없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같아서 일순 부럽다는 생각도 들지만 저자가 들여다본 덴마크의 휘게는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소와 양이 뛰노는 넓은 들판을 연상되는 덴마크의 역사는 절대 평화로운 장면이 아니었다.



싱가포르는 오래전 버려진 땅이었다. 물이 질펀해서 사람살기가 어려운 지형이어서 말레이군도에서도 버려진 곳이었는데 그 곳을 지금처럼 멋진 땅으로 바꾼 사람들은 이주민들이었다.

중국사람이 가장 많고 인도사람도 있다. 가난하고 뭔가를 생산해내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기적같은 발전을 이룬 싱가포르인들에게는 '키아수'라는 특이한 현상이 있다고 한다.

뭔가를 잃을 것 같은 두려움. 그래서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 같은 것을 말한다고 하는데 싱가포르는 일단 교육제도부터가 악명높다. 아주 어린시절부터 최고가 되기 위해 학원을 순례하고 철저하게 등급을 나눠 진학이 결정된다고 하니 아이들의 스트레스가 엄청날 것이다.

국가의 발전을 이룬 기질이 결국은 키아수라는 현상을 만들어냈고 족쇄처럼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아이슬란드에서 왜 맥도날드가 사라졌을까'라는 제목부터가 눈길을 붙잡는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가난한 국가 몇을 제외하고 맥도날드가 없는 국가는 드문 편인데 잘산다고 알려진 아이슬란드에 맥도날드가 없다고?

그래서인지 이 꼭지는 꼼꼼하게 보게 된다. 아이슬란드가 탄생되는 순간부터 경제적인 발전, 그리고 몰락에 이르는 시간까지를 살펴보다 보니 왜 맥도날드가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를 알게된다.

전쟁을 겪은 일본역시 불과 30여년만에 경제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고 여전히 공산국가인 중국이 만능물질의 사회가 되어가는 이유는 무엇인지 정말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답을 저자는 잘 설명하고 있다. 막연히 알고 있던 지식속에 많은 헛점이 있었음을 알게 되어 역사공부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 아주 도움이 된 멋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