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시대
스티븐 J. 파인 지음, 김시내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역사에서 '불의 발견'은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배웠다.

빙하기가 끝나고 인간의 출현하면서 지구는 무척 추웠을 것이다. 동굴같은 곳에서 살면서 열매나 작은 동물등을 먹으며 삶을 이어가던 인간은 불을 발견하고,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불을 생활에 끌여들여 이용할 줄 알게되면서 비약적 발전을 하게 된 것이다.



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불을 일으키고 확장시켜야 하는 소재가 필요했을 것이고 최초에는 나무같은 것들이 이용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인간은 나무를 태워 그 터에 농작을 하는 화전으로 양식을 얻을 수 있었다. 문제는 그 화전이 단발로 끝나기에 또다른 경작지를 얻기위해 불을 질러야 했을 것이고.



인류는 아주 오랫동안 불을 이용하여 잘 살아왔다. 불의 소재로 석탁이나 석유들을 발견해내어 번영의 기초로서 잘 써왔다. 하지만 그 불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다.

불의 연소로 생기는 탄소가 결국은 지금의 기후위기를 불러일으키기까지 인간은 모른척 해왔던 것이다. 눈앞에 맛있는 음식만을 보고 뒤에 이어질 재앙은 몰랐거나 모른척했다.

결국 지금의 인류에게 도달한 불의 복수로 인해 매년 최악의 폭염을 맞이하게 되었다.



거대한 우주에서 불이란 존재가 또 다른 어느 곳에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인류는 우주에서 불의 존재보다는 물의 존재를 찾는데 더 집중해왔다. 생명이 살기위해서는 불보다는 물의 존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우리 인류에게 닥친 문제를 보면 물보다는 불의 존재가 더 두렵지만 결국 그 불로 인해 물이 너무 많아지고 있고 탄소는 산소를 먹어삼키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과연 이 상태로 지구는 얼마나 버틸 것인가. 아니 인간은 얼마나 더 생존할 수 있을 것인가.



불은 하나의 원소라고만 생각했고 이렇게까지 인류에게 복수의 칼날을 드리밀줄은 몰랐다.

하지만 불의 복수는 너무 급격하게 극단적으로 다가왔고 인류가 불로 누려왔던 번영은 이제 몰락을 맞을 위기에 처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탄소세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거나 기후환경 조약을 반대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급격한 호우로 강이 넘치고 산사태가 일어나 미처 대피하기 전에 사망자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 역시 물의 공격이 아닌 불의 공격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특히 물의 공격에 취약해진 곳을 보면 직전 불로 인한 화재가 있었다. 그저 조금 타는 정도가 아닌 대규모 화재로 인해 숲이 소실되고 그로 인해 물이 머물곳도 없어지고 흙이 무너져도 멈추게 해줄 벽이 사라진 것이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기후로 인한 사고는 계속이어질 것이다.

인류가 과연 이 화염세를 넘어서 새로운 세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인지를 예측해보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