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잘데기 있는 사전 - 말끝마다 웃고 정드는 101가지 부산 사투리
양민호.최민경 지음 / 호밀밭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 한반도 땅이 넓다고 생각하는가. 땅의 넓이로만 보면 정말 작다고 생각한다.

거기에 반토막까지 났으니 말할 게 뭐 있겠는가. 그런데 그 조그만 땅에 도나 나뉘어지고 말투까지 확연하게 나뉘어졌다니 신기하지 않은가. 것도 아주 뚜렷하게 다른 색으로.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으니 표준말을 쓰고 살았다. 사회생활에서 만난 수많은 지방 사람들 말들을 들으면서 우리나라 말이 이렇게 다양하고 많다는 것에 놀라기도 했다.

특히 서울에는 전라도 사람들이 많이 올라와 살았는데 전남의 말투는 조금 거칠게 들려 사람들을 대할 때 조심스럽기도 했다. 내가 첫 직장을 근무할무렵 삼성본관에 갈 일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삼성은 영남사람들이 많았다. 사무실에 들어가면 난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서로 대화를 하거나 전화를 하는 사람들이 마치 싸우는 것처럼 시끄럽고 거칠었기 때문이었다.



부산친구들이 있었는데 말투가 너무 재미있어서 많이 놀렸던 기억이 있다.

자꾸 '쌀'을 발음해보라고 놀렸던 것이다. '살' ㅎㅎㅎ 부산친구들은 쌀을 살이라고 말한다.

이북에서 넘어와 부산에서 피난생활을 하며 자란 엄마는 이북말과 표준말, 부산말을 섞어서 쓰곤 했는데 뭔가를 건네주면서 '아나'를 쓰거나 '아유 대다', '파이다'같은 말들을 써서 익숙하게 알아들었다.



'쫌'이란 말은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여 부산사람들이 아니어도 많이 쓰는 것 같다.

특히 '응답하라'시리즈가 큰 역할을 한 것 같다. 그래도 '시근'이나 '강구', '쓰까라'같은 사투리는 전혀 모르겠다. 특히 부산말의 억양은 일본어와 비슷해서 혹시 일본어의 어원이 경상도 사투리는 아닐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가다마이'같이 일본어에서 온 사투리도 있다. 지금은 많이 쓰지 않는 것 같다.

그래도 '단디해라' '글마'같은 사투리들은 부산사람들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사투리라고 생각한다. 가수 나훈아나 강하늘, 강동원같은 부산 연예인들은 사투리를 거의 고치지 않고 쓰고 있는데 그 것도 참 정겹다. '키'나 '김태희'처럼 부산사람이라고 전혀 느끼지 못할만큼 표준어를

쓰는 연예인도 있는데 듣기고 경상도 사투리 고치기가 참 어렵다고 한다.

조그만 땅덩어리에 뜻이 다른 사투리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쓰고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

그나마 부산사투리는 제법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기회에 몰랐던 사투리 공부 많이 했다.

'억수로 욕받대이'. 요거 요거 사투리 시험 생기면 재미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