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아이 의대 보낸 엄마의 비법 - 초등부터 고등까지, 실천하는 육아 전략
임선경 지음 / 사유정원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운명은 정해진채 태어나는 것일까? 아님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일까.

인생을 반 넘어 살고 보니 이런 의문이 들 때가 많아진다. 어렸을 때에는 운명론을 믿지 않았고 내 노력에 의해 삶은 결정된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했던 것 같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나보다 더 공부 잘하고 노력도 열심히 했던 사람들이 지금 나보다 훨씬 안좋은 상황으로 살아가기도 하는 걸 보면서 운명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조금 느린 아이, 이기적인 잣대로 들여다보면 정상적이지 않아 보이는 아이를 둔 엄마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그 것도 두 아이 모두 그렇다면.



의료계쪽에 일을 하는 사람이니 더 예민할 수도 있었을텐데 주위사람들의 거친 판단에도 굴하지 않고 기다려준 것은 정말 존경스런 마음이 든다. 인내심을 가진 심성도 있었겠지만 자신마저 믿음을 놓아버리면 정말 아이들을 그런 아이로 각인된 삶을 살아야 한다는 두려움이 더 컸기 때문에 스스로 긍정의 마인드를 유지했던 것 같다. 그래도 불안함까지 잠재울 수는 없었겠지만.



두 아이들이 조금 느리고 호기심이 많은데다 앞만 보는 특징을 가진 것 같기는 하다.

기다려주는 엄마를 만나 단점이 장점이 되기까지 정작 아이들은 큰 불편함을 몰랐다고 한다.

무엇보다 주변의 시선과 섣부른 판단이 얼마나 칼날같은지 화가 치밀어 오른다.

아이가 느리다고,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고, 심지어 너 때문에 자신이 아이가 생기지 않는 것 같다고 했던 선생이라니...지금 그 선생은 어떤 해명을 할 수 있을까.



소나 말을 물가까이 끌고 갈 수는 있지만 정작 물을 먹는 것은 소나 말이다.

두 아이를 의대에 보낸 저자역시 물가까지는 정말 너무 훌륭하게 아이들을 믿으면서 잘 이끌었다. 하지만 아이들을 물을 먹는 능력이 없었다면 가능했을까.

사이 사이 아이들의 인터뷰에서 물가까지 이끌어준 엄마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고 있다.

세상의 잣대로 보면 의대나 법대가 성공의 지름길 일 수는 있다.

대학을 나오고도 취업을 못하는 젊은이가 넘치는 시대에서 대학의 의미는 이제 많이 다르다.

그럼에도 두 아이의 의대진학은 물가로 이끌어주는 엄마에 대한 보답이기도 하지만 스스로 자신의 길을 찾아내는 지혜를 얻는 과정이었다. 그래서 기특하고 미래가 기대된다.

의대를 보낸 장한 엄마라는 타이틀보다는 남들과는 조금 다른 특이점을 갖고 태어난 아이들을 기다려주고 이끌어준 리더로서, 멘토로서 존경의 마음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