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되는 병원을 만드는 디자인 - 헬스케어 디자인 씽킹 이야기
구본석 외 지음, 정효정 외 옮김, 김효석 감수 / 유엑스리뷰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원이 잘 된다는건 환자들이 많다는 뜻일테니 반가운 마음이 들진 않는다.

하지만 요즘 병원은 그저 환자의 병을 고쳐주는 공간을 넘어서 하나의 비지니스 센터에 힐링공간으로서의 기능도 더해진 것 같아 예전에 비해 서비스가 좋아진 것은 사실이다.



최근에 오픈한 병원을 가보면 지하나 1층엔 카페나 편의시설이 들어서있고 호텔로비에 들어온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화려해졌다. 일반병원도 오래된 병원은 칙칙하면서도 쾌적한 느낌이 없지만 최신의 인테리어에 기기가 잘 갖춰진 병원이 점차 늘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

의사 역시 그저 병을 고치는 차원을 넘어서 진료에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CEO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환자의 입장에서 보면 좀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셈이니 기분이 좋아진다.




우리가 사는 집도 누가 설계했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지는 것처럼 병원을 어떻게 디자인하는가에 따라 환자의 만족도도 달라지는 것은 분명하다. 디자인의 개념은 단순히 인테리어만 말하는 것은 아니다.

환자가 가장 좋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동선을 최적화한다든가 최신의 기술을 도입하여 진료의 수준을 높힌다거나 하는 세심한 서비스 모두를 지칭한다. 인간이 중심인 의료 서비스를 위한 디자인!





환자의 증상에 따라 상담실의 모양과 동선을 고려하고 실제 시뮬레이션을 한다는 장면은 인상깊다. 아마도 많은 진료인들은 실제 환자의 입장이 되어 보면서 고치고 설계했을 것이다.

그런 정성이 더해져 지금의 병원은 의료수준을 넘어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평생 병원을 가지 않는 사람은 없다. 다만 나라의 경제수준이나 의료수준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 진료서비스의 질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는 거의 최고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동네마다 진료과목별로 병원도 많고 의료비도 저렴한 편이다.

이런 발전을 위해 의료진은 물론 기기회사나 지역 네트워크등의 노력에 감사한 마음이 든다.

앞으로 AI의 발전은 병원의 또 다른 모습으로 구현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