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소리는 우리민족의 큰 자산이다. 세계 어디에서도 이런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다.

독특한 창법과 스토리로 가난한 민중과 함께 했던 창, 판소리를 우리는 참 어려워한다.


경기민요처럼 담백한 소리도 있지만 판소리하면 남도가 아니던가.

서편제와 동편제, 그 둘을 합친 강산제나 중고제가 있다고 하니 처음 듣는 소리이기도 하다.

그만큼 판소리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점이 너무 많았다는 뜻일 것이다.

오래전 서편제라는 영화를 통해 겨우 진도아리랑이 귀에 들어왔고 창을 하는 사람들의 애환을 알게 되었다.



판소리에는 민중들의 애환과 서사, 그리고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철학이 담겨있다. 하지만 노래로 들으면 귀에 얼른 들어오지 않는다는게 문제이다.

꺽기같은 독특한 창법도 그렇고 남도의 사투리로 주로 불려져서 더 뜻이 전달이 안된다는게 문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 스토리와 해석을 곁들이니 마음에 쏙 들어온다.



오호 '범내려 온다'라고 유명해진 이날치의 노래가 수궁가의 한 대목이었다는 것도 재미있다.

이날치 멤버들이 판소리를 전공했다고 하더니 이렇게 현대적으로 불러내어 사람들에게 다가오니 기특하지 아니한다. 언젠가 꼭 그들의 공연을 보고 싶다.



향가는 일종의 시조같은게 아니었을까. 단가같은 곡조를 가졌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헌화가나 처용가들은 노래를 통해서라기 보다는 교과서를 통해, 이야기책을 통해 알게되었다.

조선시대 이전부터 전승된 노래가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고 전해온다는 것 자체가 놀랍다.

구술로, 기록으로 역사를 전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깨닫게 된다.

원래 판소리는 12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현재에까지 전승되는 작품은 다섯마당에 불과하다는 것은 참 아쉽다. 목소리로 전해지는 노래이다 보니 누군가가 전승하지 않는다면 이렇게 끊길 수밖에 없는 문화가 아닌가.

다섯마당이라도 남았으니 다행이지만 과연 우리 후손에게 어떻게 이어갈지 걱정스럽기도 하다.

어렵다고 생각했던 판소리가 조금은 쉽게 다가왔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