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한다는 것은
김보미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꿈을 일구는 예술가들이 많다.

과거에는 밥을 벌어먹기 힘들어 포기하거나 취미로만 즐겼던 예술, 음악분야의 사람들이 이제는 많은 사랑을 받는 것 같다 다행스럽기도 하다.



클래식도 어렵지만 국악은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가야금이나 거문고, 대금같은 악기는 그나마 접할 기회가 많은데 해금이라니...해금이 뭐지? 대금의 동료쯤 되는 악기인걸까.

사진으로 보니 중국의 얼과 같은 악기인걸까. 검색을 해보니 소리도 연주방식도 다른 악기라고 한다. 일본에도 비슷한 악기가 있다고 한다. 암튼 두줄을 가진 해금의 음색은 깊고 조금쯤은 슬픔을 지닌 것처럼 다가오기도 하지만 저자의 연주여행 이야기를 보면 다른 서양악기나 록과 같은 모던한 음악과도 잘 어울리는 특색을 지닌 악기인듯하다.



저자는 음악에는 전혀 뜻이 없다가 운명처럼 해금을 만났다고 한다.

해금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니 우주의 삼라만상이 다 들어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저자가 그만큼 해금에 대한 사랑이 깊어 표현이 남달랐기 때문일 수도 있다.

우연처럼, 운명처럼 다가온 악기였지만 상당기간 왜 라는 물음표가 따라다닌 모양이다.

대중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악기인데다 전공후 미래에 대한 것도 불안했을 것이다.


그래서 만든 '잠비나이'라는 밴드는 이름부터가 독특하기 그지없다.

아무 뜻도 없는 그저 무심한 단어들의 조합일 뿐이라는데 잠비아라는 나라도 떠오르고 나비도 떠오르고 비내리는 어느 한적한 오후가 떠올려지기도 하는걸 보니 제법 잘 지은 이름이다.



'음악을 한다는 것'뿐이랴. 어느 한 분야에 족적을 남길 수 있는 인물이 된다는 것은 외로운 투쟁이고 번민의 연속이고 고달픈 연습이 이어져야만 가능한 이야기이다.

타고난 재능보다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계적인 패스티벌에서 연주를 하면서 느낀 고독감이나 감동같은 것들이 잘 전해졌다.

가슴을 파고 드는 진심같은 것들이 관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연주자에게도 행복한 기운이 퍼졌을 그 멋진 연주를 언젠가 들어보고 느껴보고 싶어진다.

음악을 한다는 것, 예술을 한다는 것, 어느 길이든 특히 남이 많이 가지 않은 길을 간다는 것은 큰 용기이고 운명이다. 수많은 망설임과 번뇌가 있었지만 자신의 길이 누군가 걸어갈 '길'이 되어줄 것이란 믿음이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