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평등 - 부와 권력은 왜 불평등을 허락하는가
토마 피케티.마이클 샌델 지음, 장경덕 옮김 / 와이즈베리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이 공평하다고 믿는가 라고 묻는다면 나는 아니다라고 답할 것이다.

정의롭지도 평등하지도 않지만 결국은 살아내야 하는 것이 인생이 아니겠는가.

'정의란 무엇인가'로 세상에, 미래에 질문을 던지던 마이클 센델이 프랑스의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와 대화형식으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출간된 책이다.



이 책의 핵심주제가 담긴 질문이다. 민주주의를 선택한 인류의 삶은 더 공평해져야 맞고 부의 격차도 줄어들어야 맞다. 하지만 오히려 군주시대에 비해 삶의 격차는 더 커졌다고 말할 수 있다. 기득권이 누리는 이득은 더 커지고 공평하게 누려야할 기회는 더 줄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많은 국가들은 과거 교육의 혜택을 누리지 못했었다.

지금 아프리카나 동남아등지의 열악한 국가를 제외하면 교육의 혜택이 풍요로워진 것은 분명하다.

고작 250년의 역사를 지닌 미국이 그 풍요로움을 가장 많이 누린 국가라는 사실이 놀랍다.

신생국이고 인구가 많고 부가 그나마 공평하게 나누어지고 그런 이유로 미국이 그 혜택을 누린 것은 아닐까.


가장 민주적일 것 같은 나라 미국, 계급사회가 아닐 것 같은 미국이 오히려 귀족주의가 숨어있고 상위 1%의 재벌들이 나머지를 견인하는 사회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이비리그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 상당수가 상위1%의 가정출신이라는 점이 그걸 증명한다.

많은 사람들이 기부를 하거나 학비를 면제하는등 가난한 가정의 아이를 구제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결코 넘을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점에서 센델의 추첨제 제안은 그나마 불공평한 제도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처럼 다가온다. 입학정원의 일정비율은 우수한 성적순으로 선발하고 이후 추첨제를 통해 공평한 기회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무엇보다 현재 세계를 대표하는 두 명의 지성인이 기울어진 운동장을 그나마 평평하게 하려는 몇 개의 해결책에서 우리는 무얼 선택하고 해결해나가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그게 바로 인류의 미래를 결정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어려운 주제일 수 있는 공정과 평등에 대해 대화체의 구성이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없이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