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예술가들 - 창작은 삶의 격랑에 맞서는 가장 우아한 방법이다
마이클 페피엇 지음, 정미나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살아가는데에는 여러가지 환경들이 필요하다. 가장 큰 역할은 물론 자연이겠지만 과학이나 자원같은 것들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삶의 질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

그것이 바로 예술이 아닐까.

먹을 것도 아니고 입을 것도 아니지만 인간의 삶을 더 풍성하게 해주는 중요한 예술을 만들어간 사람들을 지켜본 사람의 글을 모은 책이다.


그림에 관한 책들이 몇 년전부터 꾸준히 출간되어 오면서 제법 화가 혹은 예술가들을 많이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건 나의 착각이었고 무지였다. 이 책에 소개된 쟁쟁한 27인의 예술가들중 고작 내가 알 수 있을만한 사람은 3명에 불과했다. 고흐와 피카소와 달리.

하긴 인류의 역사에 등장한 그 많은 예술가들을 어찌 다 알수 있으랴마는 내 수준이 이정도라니.



도라는 피카소의 연인으로 자신 역시 뛰어난 예술가였지만 피카소의 화려한 여성편력덕분에 아깝게 묻혀진 예술가였다. 마치 유명 조각가인 로뎅의 연인이었던 카미유처럼 자신의 사랑,

선택으로 인해 재능을 저당잡히고 비참한 삶을 살았던 것이 너무도 비슷하게 다가온다.

도대체 예술가들, 특히 유명한 남자 예술가들은 왜 인간관계가 그렇게 지저분했던 것인지.



일단 달리라는 예술가는 외모부터가 특별하다. 개성강한 그의 삶은 남성성 상실이라는 악재조차 날려주고 듣기로 달리가 죽은 후 그의 딸이라고 주장하는 여자가 나타나 유전검사를 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어찌되었든, 그의 삶은 뛰어난 예술품 못지않은 명품이 되어버렸다.

무엇보다 내가 이 책을 쓴 저자를 부러워했던 것은 1800년도에 태어나 활동했던 예술가들 몇을 제외하고 이 책의 주인공들을 만나봤다는 사실이었다.

도대체 저자의 나이가 어떻게 되길래 하고 검색해보니 저자의 생몰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

예술에는 재능이 부족한 사람이라 그저 작품으로, 작가들을 존경하는 것으로 대신하는 삶을 살지만 어떤 점에서는 너무 열정이 넘쳐 기괴하다고 할 정도의 삶을 살아야 했던 예술가들의 여정이 마냥 부럽지만은 않다.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이름을 남긴다는 말처럼 인류의 역사의 자신들의 불꽃같은 삶과 작품을 남겼다는 것만으로도 축복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