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지의 힘 꿈꾸는돌 42
이선주 지음 / 돌베개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딱 검지에만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는 능력이 생긴다면...난 불편할 것 같다.

딱히 써먹을데도 없을 것 같고. 잘못하면 뭘 자꾸 아작나기나 할 것 같고.

열 일곱 연지는 왜 이런 능력이 생긴것일까. 생뚱맞다.


돌이켜보면 내 열 일곱도 제법 만만치 않았던 것 같기는 하다. 세상이 온통 불공평 천지고 아직 어린 것이 사는 것도 별 재미가 없는 것 같아 시큰둥했었다.

나만 그랬나 싶었는데 이 소설에 등장하는 열 일곱들도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아 안쓰럽기도 하다.

대학갈 걱정에 학폭걱정에 심지어 부모들 이혼문제까지 정말 스펙터클한 삶을 살고 있으니 말이다.



연지는 딱히 공부를 잘하지도 않고 뭐가 되고 싶다는 꿈도 없는데 검지에만 엄청난 힘이 생긴 초능력자다. 힘을 제대로 조절하기 못하면 수저가 부러지고 책상이 푹 들어가고 전혀 쓸모가 없다.

그럼에도 그 힘이 필요하다는 아이들이 있어 주고 싶다고 마음을 먹으면 상대에게 그 힘이 옮아간다.

그게 더 초능력아닌가. 암튼. 그렇게 검지의 힘을 가져간 아이들은 자신들의 문제를 그럭저럭 해결한다.


태어난 것도 부모도 내 선택이 아니었다. 맞다. 그럼에도 시원찮은 부모를 만나 사랑 못받고 살아가는 것은 순전히 내 몫이라니 정말 불공평하고 억울한 일이 아닌가.

검지의 힘을 가지고 싶었던 아이들은 하나같이 그 억울함, 불공평함을 풀고 싶어했었다.

심지어 그 검지의 힘을 이용하여 유튜브를 찍고 TV에 출현하고 싶어했던 유익표가 허세가 쩐게 아니고 그 모습을 보고 어딘가에서 엄마가 자신에게 연락을 해올거 같아 그랬다고 했을 때 얼굴이 화끈거렸다.

어른이 되었다고 해서 뭐든 잘해내는 것이 아니라서, 부끄러운 어른인 것 같아서.



딱 저들이 가진 나이만큼만 아프고 겪고 다시 잘 일어서서 우리보다 훨씬 나은 어른이 되길 빌었다.

세상엔 나이로만 어른이 되는건 아니라고. 그런데도 그걸 모르는 어른들이 너무 많아서 미안하다고.

아주 특이한 소재의 소설이라 제목에서부터 마음이 머물렀다.

나도 지나온 시간들인데 과도한 사랑과 관심으로 살아갈 것 같은 우리 아이들의 시간들이 아파서 놀랐다. 나름대로 저희들끼리 뭉쳤다 헤쳤다를 하면서 잘 크는 것 같아 다행스럽다.

그런 아이들의 아픔과 고민을 눈여겨 보지 않았다면 써지지 않았을 소설이라 저자의 깊음이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