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하더니 이 책을 보는 내내 그 말이 실감되었다.
작금의 정치상황이 조선시대 왕이 되기 위한 싸움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내가 왕이 될 상인가'라고 물었다는 수양대군의 물음처럼 과연 왕이 될 상은 따로 있는 것일까.
'태정태세문단세...'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여기까지는. 하지만 이후의 왕들은 거의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단편적인 지식들만 지닐 가능성이 높다.
나도 그보다 나을 것이 없어 그동안 내가 가지고 있던 조선시대의 지식을 대입시켜보고자 하는 마음이 컸다. 그동안 내가 읽었던 조선시대 역사서는 제법 유명한 사학자들이 쓴 책이고 저자 나름의 판단이 들어가 있기도 해서 과연 이 책의 저자는 조선의 왕들을 어떻게 평가할지
많이 궁금했었다.
공부를 열심히 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사학과 출신이라고 하니 역사에 대한 지식이나 안목은 일반인보다 훨씬 위라고 생각했고 무엇보다 학자같지 않은 직설이 참 마음에 와 닿았다.
한 권의 책에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를 담기에는 부족한 점도 작용을 했겠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은 과감히 포기하고 실록에 실린 기록과 야사를 인용해 당시 가능했을 가설들을 등장시킨 점이 특히 마음에 와 닿았다. 살아보지 못한 시대, 것도 역사의 기록이란 것이 승자의 기록이다 보니 자칫 이기적이거나 편견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마치 그 시간대에 살면서 현장을 본 것처럼 가장 큰 가능성을 대입시킨 점은 여느 역사서와는 확실히 다르다고 느껴졌다. 어찌되었던 왕은 하늘이 낸다고 하는 말이 많다고 생각은 하는데 왕이 되는 과정은 정말 피비린내가 진동하는 전쟁터여서 정말 가능만 하다면 묻고 싶어진다. 과거의 왕들에게..'그래서 행복했습니까?'
이런 역사서를 정치를 하는 인간들이 꼭 읽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미래의 후손들은 지금의 시간들을 어떻게 기록하고 판단할 것인가.
이 책에 등장한 수많은 충신과 간신들도 자신들이 후대에 어떻게 기록될 것인지를 알고 있었을까.
과거 인기를 끌었던 '조선왕조 500년'을 다시 본 것처럼 생생하게 살려낸 역사서이다.
역사는 외우는 과목이고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특히 형편없이 현실을 파괴하는 못난 인간들에게 강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