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불시착 1 - 진짜 백석의 재발견
홍찬선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석하면 떠오르는 시가 바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이다.

백석이 태어난 해로 역산하면 그의 스물 여섯에 썼을 것이다.

평생 그가 사랑한 여자가 한 둘이 아니었으니 그 시에 등장하는 나타샤는 이소설속 그가 만난 여자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우리가 사랑한 윤동주역시 백석과 같은 학교 출신이었고 비슷한 시대를 살았으니 어쩌면 시대가 천재를 만드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법정스님에게 대원각을 시주했던 김영한은 자신의 에세이에서 백석이 사랑한 여자가 자신이었다고 하였지만 이후 많은 자료나 증언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짐작된다.

김영한이 실제 백석과 교류도 있었고 당시 백석은 잘 생긴 미남인데다 모던보이로서 추앙받았기에 백석이 김영한을 사랑했다기 보다는 김영한이 추앙한 것이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


백석이 지인의 결혼식에서 만난 여자(이 소설에서는 연이)를 평생 사랑했던 것은 맞는 것 같다.

인연이 안되려고 했는지 우연한 만남이후 자꾸 엇갈리기만 했고 결국 연이를 소개한 친구의 아내가 되어버리는 드라마같은 현실이 펼쳐지기도 한다.

원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 더 애틋한 법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백 년도 전의 사람인 것을 생각하면 당시에도 이렇게 뜨겁고 애틋한 사랑이 있었다는 것이 믿기 힘들 정도이다.

문학을 하는 사람들은 감수성이 예민해서인지 쉽게 사랑에 빠지고 그래서 작품이 더 빛날 수 있었던게 아닌가 싶다.




백석이 사랑했던 연이로 인해, 나사랑으로 인해 그의 작품은 더 절절해졌고 삶은 드라마틱해졌다.

일제강점기의 어둡던 시절로 인해, 이후 남북분단으로 인해 사상적으로 의심을 받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저 한 남자로, 시인으로 그를 본다면 아름답고 섬세했던 사람으로 기억하고 싶어진다.

시를 잘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특히 가장 유명한 시집 '사슴'에 실린 시만 보더라도 그의 시어는 정말 탁월하다는 생각이 든다. 시와 더불어 그의 사랑에 잠시 옛추억에 잠겨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