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는 다양한 우주가 필요하다 - 삶을 아름답고 풍부하게 만드는 7가지 우주에 관하여
앨런 라이트먼 지음, 김성훈 옮김 / 다산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의 크기를 아는 사람은 없다. 그저 무한한 공간일 것이라는 추측뿐이다.

누군가는 들판에 핀 꽃에도 우주가 있다고 했는데 아마 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부분이 함축된 것 같다. 특히 세상의 모든 것들을 밝혀내고 정의해내려는 과학자의 인문학적인 시각이라니 정말 흥미롭지 않을 수가 없는 책이다.



과학이 인류에게 끼친 업적을 말로 다 할 수가 없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이 모든 편리함과 무지를 극복해 낸 지혜역시 과학으로부터 얻은 열매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영원히 밝혀내지 못할 문제에 부딪힌다.

'신은 존재하는가' '영혼은 존재하는가'같은 것은 과학으로도 결코 답할 수 없는 문제이다.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은하계 바깓에 무엇이 존재하는지 또다른 생명체는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까.

생명의 탄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답을 얻은 것 같다.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물이라는 것도.

인류는 지구의 기후위기등 언젠가 사라질지도 모를 지구를 대체할 다른 별을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 지구와 가까운 화성같은 곳이 유력하긴 한데 물없는 별에서 과연 인간이 살수 있으려나.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셨다는 종교적 이론은 당연히 과학이론과 충돌하게 된다.

진화설을 주장한 다윈이 당시 종교적으로 핍박을 받았다는 사실과 그 이전과 이후에도 수많은 과학적 증명들이 종교와 부딪혔다는 사실로 증명된다.

그래서인지 과학자인 저자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수많은 신비한 현상에 대해 경외감을 느꼈던 순간들에 대한 고백은 오히려 진실되고 친밀하게 다가온다.



어느 순간부터인가 휴대폰이 모두를 지배하는 세상이 되었고 그 익숙함에 거부감을 못느끼게 된 인간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두려운 생각이 든다.

저자의 말처럼 부분적으로 기계인 모습을 한 인간들이 등장하는 세상을 넘어서 영화 터미네이터처럼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오리라는게 내 예상이다.

이미 자연은 인간의 몰염치한 도전과 욕망으로 치유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과학의 진화를 바라기전에 오히려 조금 불편했지만 오염되지 않았던 시대로 되돌아가는 것이 낫지 않을까..아마 편리함에 익숙해진 인류는 절대 이런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다.

과학자라기 보다는 자연주의자, 혹은 철학자같은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저자의 말에 큰 공감을 느낀 시간이었다. 먼지처럼 작은 존재, 인간이 찾아내야 할 우주는 어떤 모습인지, 평화로운 모습일지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