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불량한 반란 - 얌전히 살기엔 인생이 너무 짧다
성상용 지음 / 작가와비평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춘'의 정의로만 본다면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바로 지금 이 시기, 사람의 나이로 보면 십대 후반에서 이십대에 이르는 시기라니 나에게 청춘은 아련하게 먼 시간이 되었다.

흔히 나이든 사람들이 마음이 청춘이다라고 우기지만 세월에 장사가 있겠는가.



100세시대에 60은 노인이라고 하기에 억울한 나이이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시기에 60세를 '어르신'이라고 표현해서 화들짝 놀랐었다. 아 내가 벌써 어르신 소리를 들을 나이가 되었단 말인가.

지방과 서울을 오가며 지내는 나는 지방에 갈 때면 우리나라가 많이 늙어가고 있음을 실감한다.

버스를 타면 내가 제일 젊다. 보통 지팡이를 집은 노인들이 대부분이고 오르 내릴 때도 힘겨워한다.

이제 곧 나도 저런 모습이 되겠구나 싶으면 많이 서글퍼진다.



칠순의 나이대를 살고 있는 것으로 짐작되는 저자의 불량한 반란론을 읽다보니 아 저 나이대의 사람들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보다 생계를 위해, 가족을 위해 헌신해온 세대임을 기억해냈다. 전후 가난을 이기고 오로지 배움으로 삶을 개척해온 선구자같은 세대가 아닌가. 그러니 열심히 일하고 은퇴를 해서 정말 하고픈 일들을 하는건 당연하다.



방송국 PD가 되고 싶었지만 대기업 삼성에 입사했다니 실력도 대단했던 인재였다.

세계적 대기업이 된 삼성의 이병철회장과의 일화나 초기 삼성의 구인일화들을 보니 지금 우리나라의 발전이 일요일에도 출근할 정도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새벽에도 배송이 끊이지 않는 쿠팡을 벌써 몇 십년전 구상했다니 아이디어맨이 분명하다.

돈을 더 많이 벌 기회가 있었지만 자신의 선택에 후회가 없다고 하니 괜히 내가 더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내가 그런 아이디어가 있었더라면 지금 다른 길에 서 있을텐데 말이다.



친구들과 고스톱도 치고 골프도 치고 이제 재능을 발휘해 글까지 쓰고 있다니 이건 정말 대단하고 찬란한 반란이 아닐까.

60대인 나도 친구 몇 명의 부고를 받아들었다. 오는 것은 순서가 있지만 가는 것은 순서가 없다더니 친구들과 오래 수다떨어야 하는데 점점 사라지면 어쩌나 싶다.

'얌전히 살기엔 인생이 너무 짧다'는 말에 공감이 밀려온다.

살아보니 정말 눈 깜작할 정도로 시간이 순삭해버렸다. 열심히 살아왔고 덕분에 잘 살게된 지금을 마련해준 선배들에게 깊은 감사를 보낸다.

그리고 열심히, 더 불량한 반란을 일으키며 살아가시라고 응원의 마음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