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도시로 읽는 독일사 - 철학과 예술과 과학이 살아 숨 쉬는 지성의 나라 독일 이야기 30개 도시로 읽는 시리즈
손선홍 지음 / 다산초당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하면 떠오는 것들, 실리를 따지는 사람들, 자동차, 히틀러, 분단국가, 전범국의 진정한 사과...

좋은 이미지도 많지만 안좋은 이미지도 많은 국가이다.



세계사를 이렇게 도시별로 나누어진 책들은 많지 않다. 왜 굳이 도시로 구분지었을까 싶었는데 독일의 도시별 특징이나 개성이 이렇게나 강하니 뭉뜽거려 기술한 역사서보다 더 가깝게 다가온다.

과거 독일이 지금의 지도보다 더 거대했다는 사실도 새롭게 느껴졌다.



흔하게 하는 퀴즈가 바로 나라의 수도를 맞히는 문제인데 독일의 수도에 대해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독일의 수도는? 하면 뮌헨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베르크라는 지명을 가진 도시가 많아서 그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사람도 있다.

더구나 독일이 우리나라처럼 과거 분단국가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은 것 같다.

어린시절 불렀던 '로렐라이 언덕'이 독일 전설에서 시작된 노래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되려나.



책을 읽다보니 독일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너무 많아 독일이 위대한 국가임을 다시 깨닫게 된다.

괴테, 칸트, 실러, 카를 마르크스, 우리보다 늦긴 했지만 활자를 일상화시켜 책을 만든 쿠텐베르크 (결국 이 책들의 보급이 후일 종교개혁운동의 디딤돌이 된다) 바흐, 베토벤, 슈만,멘델스존,브람스 처럼 아름다운 음악가들을 비롯해 인류의 원흉 히틀러까지...정말 세계사를 움직인 거장들이 태어나고 활동한 국가라는 사실을 다시 깨닫는다.



기억도 나지 않지만 독일분단의 이유가 역시 우리나라처럼 소련과 서방연합국의 작품이라는 사실에 묘한 동질감을 느낀다. 하지만 또 그 높았던 베를린 장벽이 동독 정권의 '국외 여행 자유화 조치'기자회견장에서 비롯되었다니 너무 코미디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에게 이런 코미디는 왜 없었는지...그리고 무엇보다 전범국으로서 독일은 일본과 달랐다는 사실에 더욱 일본에 대한 반감이 커지게 된다.

독일의 총리 빌리 브란트가 무릎을 꿇고 사과하는 장면은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

후에 메르켈 총리도 홀로코스트에 대해 사과했고 많은 독일국민들도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은 어떠한가.

비록 전쟁을 일으키고 엄청난 전쟁비용을 배상해야 했던 독일이 다시 유럽의 심장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역사를 부정하지 않고 성실함과 민족적 자긍심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처참한 역사를 지녔지만 그 위에 우뚝선 독일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