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천재들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바다 생물의 놀라운 생존 기술
빌 프랑수아 지음, 발랑틴 플레시 그림,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속은 알 수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사람 속이 그만큼 깊은 물속보다 음험하다는 뜻일 것이다.

하지만 사실 깊은 바다속을 속속들이 다 알기는 쉽지 않다.

지구의 70%는 물이라는데 그 거대한 공간에 일어나는, 살아가는 생물에 대해 우리가 다 알수가 있을까.



인간의 호기심은 대단한 것이라 그 호기심이 인간의 문명을 여기까지 끌고 오게된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바다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을 알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미지의 세상인 것은 분명해보인다. 왜 제목을 '바다의 천재들'이라고 했는지는 읽다보면 알게된다.



인간이란 생명체도 바다에서 왔다고 하는데 이 지구에 생명체가 생겨나고 각기 당시의 환경에 최적화된 개체로 진화해왔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척박한 환경에서 기가막히게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는 생명체들을 천재로 비유한 것이다. 얼마나 대단한 똑똑이들인가.



날치가 날아가는 모습을 나도 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실제 새처럼 날개가 있어서 어느정도 비행이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고속 카메라로 촬영을 한 이후에야 그 진실이 밝혀졌다고 한다.

실제 새처럼 날개로 날아가는 것이 아니고 공기를 이용한 양력으로 잠시 솟아오는 것이라는데 더 멀리 날아가기 위해 절대 고공 비행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얼마나 천재적인가.

다만 날치는 맛이 좋은 생선이라 서로 먹겠다고 달려드는 적이 많다는 것이 안타깝다.



민어가 우리나라에서만 인기가 있는 줄 알았는데 세계 각국에서도 인기가 좋고 특히 부레 하나를 먹으면 다 먹은 것이라고 할 만큼 다른 나라 사람들도 부레를 좋아한다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특히 소리를 내는 물고기로 유명한데 과거에도 요즘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대나무를 물 속에 집어넣고 민어의 소리를 듣고 그물을 내리는데 자신의 특기인 노래소리가 무덤으로 향하는 길인 것은 몰랐던 모양이다.

어마어마한 양을 자랑하는 크릴이 지구의 기후위기에 기여한다는 사실 또한 놀랍다.

탄소를 바다속에 가두는 전령사라니..고래 역시 마찬가지였다.

물위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의 먹이 사슬은 단순하단다. 하지만 물속 생명들은 먹이사실이 복잡하고 그 사슬이 끊어지면 지구에 끔찍한 재앙이 닥칠 수 있다는 사실에 두려움이 몰려온다.

발광하는 생명체들, 전기를 만드는 생선들, 우리가 흔히 먹는 멸치의 은빛 춤이라든가 정말 생각지도 못한 바다속 풍경에 재미와 놀라움을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