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국가 카자흐스탄 - 디지털 노마드 시대, 선두주자의 꿈을 향해
손치근.조은정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을 생각하다보면 동유럽, 남미는 얼른 생각이 나지만 중앙아시아는 선뜻 선택하기가 어려워진다. 일단 정보도 약하고 '~스탄'이라고 이름이 붙은 나라들은 왠지 우리나라보다 빈국이거나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을 것이란 선입견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이 책의 제목인 '형제국가'하면 카자흐스탄 보다는 '튀르키예'가 먼저 떠오르는 것도 사실인데 왜 형제국가라는 제목을 붙였는지 저자의 안내를 따라 가다보면 이해가 된다.

튀르키예처럼 한국전쟁때 파병을 해주었던 나라이기도 하고 역사의 저 먼 과거에 카자흐스탄과 우리는 동족이었거나 동족과 매우 가까운 이웃이었음을 알게되기 때문이다.

언어학적으로 매우 닮은 구석이 있고 유전학적으로도 동질감이 발견되기도 한단다.

다만 어느 순간부터-아마도 소비에트사회주의연방국가에 속하면서 더 멀어진 것이 아닌가싶다.




공식국가로 인정받은 '~스탄'이란 나라중, 카자흐스탄의 미래가 가장 밝다는 것이 꽤 인상깊다.

현재도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있고 카자흐스탄이 가진 자원이나 방향성을 보면 정말 함께 해야할 형제국가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카자흐스탄이란 나라에 대해 너무 무지했다는

점을 부인하기가 어렵다.



카자흐스탄의 가치를 알아보고 달려드는 국가가 이미 많다고 하는데 카자흐스탄은 자본으로 이미 충분해서 투자처보다는 같이 손잡고 나가는 동반국가로서 생각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가장 핵심적인 것 같다.



다만 종교적으로 조금 이질적이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짧은 시간에 엄청난 발전을 이루면서 유독 중앙아시아에 대해 주목하지 못했던 것 같은데

그런 아쉬운 점을 이 책이 상당히 해결해주었다.

역사적 뿌리부터 문화, 경제, 주변국과의 관계등 거의 논문에 가까운 심도가 느껴질 정도였다.

더구나 10만 고려인들이 살고 있다고 하니 그 친밀감이 더 다가오기도 한다.

우리나라보다 빈국일 것이란 선입견도 사라지고 카자흐스탄이 가진 천혜의 자연풍광이나 자원들을 보니 부럽기조차 하다.

단일민족임을 으시하던 과거의 우리는 잊고 다양한 문화를 지닌 미래지향적인 이웃들과 손을 잡아야 한다는 점에서 인식을 전환시켜준 아주 알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