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음악인류학 - 불교와 세계종교
윤소희 지음 / 민족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에게 음악이 없었더라면 얼마나 삭막한 삶이었을지 상상만으로도 마음이 어두워진다.

아마 인류 최초의 음악은 자연의 소리들이었을 것이다.

바람이 나무를 흔드는 소리, 동물들의 울음소리...그런 것들을 들으면서 자신들의 소리를 내기 시작하지 않았을까.




어디에서 처음 파생되었든 음악은 인류의 여정을 따라 옮겨오고 퍼져나가게 되어 지금의 여러장르의 음악으로 발전되어왔다고 생각한다.

음악 인류학이라는 학문적 입장에서의 해석을 보면 인간에게 있어 음악은 신께 제사를 드리는 종교적 행사나 전쟁을 치를 때 용기를 북돋을 때에 가장 많이 발전한 것 같다.

전쟁을 치룬 이후 위령제에 다시 음악이 필요해지고 먼 타향에서 전쟁을 치뤄야 하는 병사들에게는 고향을 그리는 음악도 필요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음악의 영향이 가장 많이 필요했던 분야는 아마도 불교였던것 같다.

중국에서 유래된 음악이 고려 때 국교였던 불교에서 부처나 중생을 위한 음악으로 발전되었고 이후 조선에서 큰 꽃을 피웠던 것 같다. 불교를 멀리하던 조선에서 고려가 숭상하던 불교음악 그대로 발전하긴 어려워겠지만 이후 민속음악으로 발전하면서 조금 다른 색으로 이어진 것같다.



어쨌든 인간의 힘, 능력은 위대하다고 다시금 느낀다.

그저 인간의 몸에서 나오는 소리만으로 음악을 느끼는 시대를 거쳐 나름 체계를 가지고 음율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보면 곡식의 낱알로 그 음의 길이를 정하였다니 참으로 놀랍지 아니한가.

이 음율의 길이가 여러 나라를 거쳐 나름의 색으로 발전하게 된다.



인도의 음악이 중국의 음악에 영향을 끼치고 중앙아시아, 튀르키예, 이스람 문화에 색을 더한다. 지금까지도 인간들은 서로를 죽이는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그럼에도 서로의 뿌리에는 서로에게 영향을 준 문화가 있음에도 말이다.

단순히 신을 찬양하는 소리와는 다르게 '붓다'의 소리는 깨달음이고 진리의 소리라는 것을 저자는 세계의 종교음악과 불교를 인류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음'을 좋아하고 열광하게된 우리나라 사람들의 '소리'에는 이런 뿌리가 있음을 다시 자각하게 된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