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렌디피티 - 위대한 발명은 ‘우연한 실수’에서 탄생한다!
오스카 파리네티 지음, 안희태 그림, 최경남 옮김 / 레몬한스푼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렌디피티: 완전한 우연으로 부터 중대한 발견이나 발명이 이루어 지는 것.

사실 인류가 이룬 빛나는 결과물중에는 우연으로 이루어진 세렌디피티가 더 많을 것 같다. 불의 발견도 그렇거니와 유리, 페니실린, 여기 소개된 수많은 결과물들이 그걸 증명하고 있지 아니한가.


인류의 삶을 더 풍요롭게 이끌어온 세렌디피티의 역사를 그린 이 책을 보노라니 재미있는 우화를 읽는 것 처럼 즐겁고 신기하기만 하다.

에티오피아의 목동이 자신이 기르던 염소가 먹던 열매를 발견하게 되고 결국 지금까지도 전세계인들이 매일 먹지 않으면 못배기는 커피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감자나, 고추같은 식물은 지구의 진화와 함께 인간의 삶에 스며들었을 것이고 다만 그걸 발견하고 전세계로 퍼지게 된 사연들은 탐험이나 무역같은 인간의 개입이 필요했었다.


아이스크림콘의 시작도 그러했다. 아이스크림이 처음 만들어지고-이 발견 역시도 세렌디피티다-그릇에 담아먹었다가 박람회때 그릇이 모자라자 곁에 있던 구운 잘라비아에 말아서 팔기시작했다는게 가장 유력한 기원설인데 역시 인간은 필요에 의해 뭐든 만들어내는

재주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수많은 세렌디피티는 그렇게 탄생하게 된 것이다.


맛있는 초코렛 가나슈의 탄생에는 부주의한 견습생의 실수가 있었고 그렇게 탄생한 맛있는 가나슈의 뜻이 멍청이었다니 이 어찌 웃기지 않겠는가.

19세기 파리의 어느 초코릿 실험실에 있었던 그 가나슈 실습생에게 경의를 표한다.


요즘 우리 식탁에는 수많은 이국의 소스나 레시피가 올라온다. 지구촌의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계획된 레시피가 잘못되는 바람에 더 맛있는 소스로 탄생한 우스터 소스의 세렌디피티도 흥미롭기만 하다.

사실 다양한 치즈의 발견도 이와 비슷한 기원설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쓴 오스카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작가로 아마 백종원같은 능력을 지닌 것 같다. 미식가이면서 미식여행을 즐기는 면에서 그리고 이렇게 우연이 만든 인류의 수많은 세렌디피티를 찾아가는 즐거움을 누리는 것 역시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인류는 앞으로도 더 많은 세렌디피티를 만들어낼 것이다.

세렌디피티가 우연이었는지 필연이었는지 참 감사한 발견들에 대한 스토리에 푹 빠진 시간여행이 참으로 즐거웠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