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잘 잤으면 하는 너에게 - 고단한 하루 끝, 숙면 기원 에세이
미내플(유민애) 지음 / 놀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내가 겪고 있는 가장 힘든 건강문제가 바로 수면이다.

언제부터인가, 아마도 갱년기즈음이 아니었을까 싶은 무렵부터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날밤을 꼬박 새우고 아침이 오면 머리는 몽롱하고 기력이 없어진다.


거의 10년 이상 이런 증세를 겪다보니 꿀잠잔 기억이 가물하다.

지금은 수면제 도움도 받고 노력을 하는데 정말 깊은 수면이 얼마나 소중한지 과거엔 알지 못했다. 하지만 나처럼 갱년기이후 생겨나는 불면증이 아닌 젊은이들이 이런 증세를 겪고 있다니 정말 놀랍기만 하다. 머리만 대면 잠이 와야 하지 않은가.


수면은 확실히 신체적인, 호르몬적인 문제도 있지만 젊은이들의 불면에는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 현재가 너무 비참해져서, 어떤 문제든 과도한 걱정과 불안이 불면을 만들고 있는 것 같아 무척 안타깝다.

저자 역시 이런 문제를 겪으며 이웃들과 소통을 시작하고 이제는 많이 극복을 했다고 하니 다행이다.


특히 불면의 고통에 시달리는 성격이 있는 것도 같다. 너무 예민하거나, 주변을 의식하거나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들, 그리고 저자처럼 왕따를 당한 경험이 있거나 어떤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들이 특히 불안과 불면의 증세를 가질 확률이 높다고 보인다.

저자의 '호구'가 되지 않는 법을 보면 덮어놓고 상대를 잘해주는 사람, 상대방의 눈치를 보는 사람들도 날밤을 지샐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혹시 이런 상처가 있거나 불안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나의 무기력정도가 어느정도인지 판단해보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엊그제 '그 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쓰레기집에 사는 젊은이들에 대한 얘기를 다뤘다. 하나같이 문제가 있는 젊은이들이었는데 사랑이나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나 무기력에 빠진 사람들이 자신을 돌보거나 주변을 정리하는 것조차 하지 못하고 방치되어있는 현장을 보니 문제의 심각성이 느껴졌다.

잘 잘 수 있다는 것은 마음이 그만큼 편하다는 증거가 아닐까.

열심히 일하고 자존감 팍팍 세우고 편하게 잠드는 그런 날들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특히 살아갈 미래의 시간이 많은 젊은이들에게 불면의 밤들이 없어졌으면 좋겠다.

저자 자신이 수많은 불안과 불면의 날들을 이기고 극복의 루틴을 보여준 이 책으로 꿀잠자는 날들만 이어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