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 잔혹동화 속 문장의 기억 Andersen, Memory of sentences (양장) - 선과 악, 현실과 동화를 넘나드는 인간 본성
박예진 엮음,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 / 센텐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시절 나를 들뜨게 하고 상상속의 세상으로 이끌었던 동화를 썼던 안데르센. 그가 지독한 가난과 외로움을 겪었고 양성애자로서 힘든 삶을 살았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전쟁직후 많은 나라들이 가난과 고난을 겪었다. 하지만 안데르센은 어머니에게도 사랑받지 못하고 짝사랑했던 상대에게도 버림받아졌던 지독한 아픔을 지닌 남자였다.

그럼에도 아름답고 교훈적인 동화를 썼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 소개된 그의 동화들은 결코 아름답지만은 않은 잔혹함이 들어있다.



허영심에 잡아먹인 공주'를 보면 사랑하는 공주를 위해 자신에게는 소중한 보물을 건네려고 하지만 도도한 공주는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왕자는 더러운 돼지치기로 변장하고 공주에게 다가가 노래가 흘러나오는 종을 예쁜 단지안에 넣었다. 그 방울은 아름다운 노래가 흘러나왔고 공주는 그 종을 갖고 싶어 변장한 왕자가 요구한 키스를 하게 된다.

이 모습을 보게된 왕은 화가 나서 공주를 내쫓았고 왕자역시 공주에게서 떠나고 만다.

이 작품에서도 혼혈아였던 안데르센의 시간이 숨어있다고 한다. 따돌림의 기억.

사람자체만 바라바주는 진정한 눈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이 숨어있는 것이다.


어쩌면 안데르센의 가장 유명한 동화인 '인어공주'는 어린마음에도 무척 슬픈 동화로 기억되었다. 물거품으로 끝난 인어공주의 삶. 동성애자인 안데르센이 사랑했던 남자에게 선택받지 못하고 상실감에 쓴 소설이라고 한다. 아 허망한 사랑이라니.

하지만 인간과 인어와의 사랑이라는게 해피앤딩이 될 수 있을까. 안데르센의 이 설정은 결국 자신의 사랑이 새드앤딩이 될 것임을 알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시대가 그러하지 않은가.


안데르센의 또다른 역작인 '미운오리새끼'에서 역시 안데르센의 삶이 들어있다고 생각된다.

못생긴 외모로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했던 안데르센이 이 작품에서처럼 못난 오리가 백조가 되어 날아오르는 환상을 그린 작품이 아닐까. 그 역시 백조처럼 자유롭게 날아오르고 싶어 이 작품을 쓴게 아닌가싶다.

이 책은 단순히 안데르센의 동화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 원문을 실어 해석을 달아 영어공부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안데르센의 삶과 대비시켜 동화의 깊이를 더했다.

안데르센의 동화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라기보다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인간들을 위한 철학서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들어 안데르센의 동화를 읽으니 어려서 읽었을 때와 다르게

깊게 다가오는 경험을 했다. 누구든 한 번쯤 안데르센의 이야기를 다시 들어보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