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 너머에도 천 개의 태양이 빛나고 있지
유인경 지음 / 테라코타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를 떠올리면 늘 경쾌한 모습과 달변가다운 입담으로 즐거운 사람이라는 이미지다.

기자라기 보다는 유쾌한 방송인이라고 생각할 정도였다. 그래서 말보다 글이 더 진솔해지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을 보면서 든 생각이다.


요즘 잘 안보인다 했더니 어느새 기자직에서는 퇴직을 하고 강의를 다니거나 글을 쓰고 즐거운 모임같은걸 많이 갖는 모양이다. 손주까지 본 행복한 할머니도 되었단다.

부럽다. 바쁜 직장생활을 하느라 외동딸 돌보기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지만 잘 자라서 손주까지 안겨준 효녀가 아닌가. 그러니 자식농사 또한 잘 지은 셈이다.


100세 시대라고 하더니 정말 이 책에 등장한 수많은 지인들의 경우를 보니 실감이 난다.

김형석 명예교수부터, 신구, 노라노, 윤여정, 김영옥씨등 정말 노익장을 과시하면서 잘 살아가는 실버들이 넘치고 넘쳤다. 그렇게 보면 이제 예순 중반인 저자는 이제 겨우 초등학교를 졸업한 정도의 삶을 살았을 뿐이다. 그런데도 어디엔가 소속되는 일들은 대개 다 버거운 세대.

오랜 노하우를 지닌 사진기자출신의 지인정도만 빼고는 정말 제대로 된 직업을 갖기가 쉽지 않은 나이가 되었다는 것과, 그런 실버들이 지금도 많고 앞으로는 더 많아질 것이란 것이 문제이다.


'나이들어 선택은 더 나은 것이 아니라 내게 불필요한 것을 골라 버리는 일이다'.

아 정말 참 마음에 드는 말이다. 사실 쌓아놓기보다 버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우리는 알지 않은가. 나이드면 입은 닫고 지갑은 열라는 말도 있다.

살아보니, 나도 예순 중반즈음에 이르고 보니 '어른답게'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깨닫게 된다. 특히 저자나 나처럼 베이비붐세대들은 위로 아직 부양해야할 부모가 대개 있고

여전히 캥거루 주머니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식들 틈에 낀 경우가 많다.


나이는 들었고 경제적 능력은 떨어졌는데 아직 해야할, 부담져야 할 사람들은 여전하고 그걸 떠나서라도 아직 나의 가치가 빛나보일 '일'같은 것들을 찾기가 너무 힘든게 좌절감을 몰고 온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직 할 일, 찾아내야 할 일들이 많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마음이 놓였다.

아마 많은 실버들이 나처럼 느꼈을 것이다.

더구나 유쾌한 여기자 유인경의 지식수준과 독서량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나의 삶은, 우리의 삶은. 주변 친구들에게 꼭 추천하고픈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