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을 탄 소크라테스 - 최정상급 철학자들이 참가한 투르 드 프랑스
기욤 마르탱 지음, 류재화 옮김 / 나무옆의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렁치렁한 그리스식 옷을 입고 사이클을 탄 소크라테스를 상상해보라!

아니 현대의 최고급 사이클복을 입은 플라톤을 상상하는건 어떻고.

 

 

일단 역사속 유명한 철학가내지 명망가들을 투르 드 프랑스 대회로 불러내는 상상을

한 작가의 위트가 일단 마음에 든다. 작가 자신이 꽤 유명한 사이클 선수인데다 철학을

전공한 철학자이기에 가능한 상상이겠다.

 


 

사이클과 철학 사이에 무슨 상관이 있지?하는 질문부터 떠오른다.

철학이 사색이고 인문이라는 사실외에 의외로 예술성이 있다는 말에 다소 의문이

들긴 하지만 사이클을 타고도 얼마든지 사색하고 상상하고 철학이 가능하다는 점에

동감한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많이 친할 것 같다는 상상은

그들의 대화에서 조정이 필요할 것 같다. 인류 최고의 철학자들이 의외로 공감능력은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과연 지성의 옷을 입은 철학자들은 몸으로 뛰어야 하는 사이클 대회에서 이길 수 있을까.

상상만으로도 즐거워진다. 내가 알기로 특히 남자들에게 사이클은 은근한 고통이 수반된다고 들었는데 운동 많이 안했을 것 같은 고대 철학자들의 엉덩이는 무사할 것인가.

철학자들의 지성이나 사색보다 이런 점들이 더 궁금했다면 내가 너무 엉뚱한가?

 

 

사이클 선수이면서 철학자인 작가는 육체로 하는 스포츠와 정신의 정점이 필요한 사색은 결코 이단적이지 않다는 걸 말하고 싶은 것 같다.

사실 우리는 스포츠선수는 지성에는 과히 관심이 없거나 모자라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철학자들의 스포츠능력은? 더구나 고대의 철학자들의 스포츠실력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을 정도로 형편없을 것이란 편견을 깨부셔보는 작가의 상상이 압권이다.

말하자면 철학자이면서 사이클 선수인 작가는 아주 지성적이고 지능적이면서도 육체적으로 손색이 없다는 걸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성공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