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는 심리상담을 할 수 있을까? - 챗GPT를 통해 진정한 인간의 마음을 만나다
박정혜 지음 / 오도스(odos) / 2023년 8월
평점 :
챗GPT의 등장은 많은 기대와 두려움을 함께 가지고 왔다.
수많은 데이타를 입력해서 가장 빠르고 합리적인 답을 돌출해내는 능력을 넘어서
창조의 수준까지 도달했기 때문이다.

이제 챗GPT는 얼마나 많은 범위의 일들을 해낼지 상상할 수가 없다.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작곡하거나 심지어 여기 저자처럼 심리상담을 할 수도 있을까 하는 호기심까지
등장했다. 과연 정신건강의학계의 경험자인 저자가 보는 챗GPT의 심리상담은 어떤
결과일지 책을 펼치기 전부터 기대감이 상승한다.

저자는 일단 심리상담을 하는 챗GPT의 이름을 '라'라고 붙인다. 하라, 하지마라처럼 인간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에서 차출된 이름이다.
질문은 구순의 노모를 모시고 사는 질문자의 여러가지 문제로 시작하고 '라'와 '시아'라고 표현된 저자와 인간의 대답 두 가지를 비교할 수 있게 배열했다.

대체로 '라'의 대답은 일목요연하고 누구든 그렇게 대답할 수 있겠다는 확률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들을 조합하고 정리한 것처럼 느껴졌다.
'시아'의 대답또한 '라'의 대답에 들어있는 중요한 메시지가 담겨있고 더불어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배려나 따뜻함같은 것들이 더 담겨있는 것 같다.

하지만 눈여겨 봐야할 것은 챗GPT의 대답들이 공허하거나 따분하거나 천편일률적인 것들을 넘어서 제법 공감할 수 있게 나왔다는 점이다. 이렇게 챗GPT가 활약을 한다면 이제 정신과나 심리상담가들이 설자리를 잃을지도 모를일이다.
하지만 분명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답이 존재하리라 믿는다. 답을 구하는 사람과의 눈맞춤이나 온기를 나누는 것같은 것들.
그럼에도 우리는 챗GPT가 점점 인간이 할 수 있는 영역을 좁혀온다는 두려움을 떨칠 수 없다.
분명 우리가 애써 찾으려 했던 어떤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그걸 넘어서 그동안 인간들이 누렸던 보편적인 것들을 빼앗길 수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여기 등장한 노모를 모시고 사는 외로운 여인처럼 누군가의 도움과 문제에 대한 답이 필요한 사람에게 챗GPT는 또다른 해답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생각이 많아졌던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