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완벽주의자를 위한 책 - 자기증명과 인정욕구로부터 벗어나는 10가지 심리학 기술
마이클 투히그.클라리사 옹 지음, 이진 옮김 / 수오서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완벽주의자던가? 대체로 그런 편이라고 생각한다. 저녁에 잠자리에 누우면

다음날 할 일들이 메모된 다이어리가 떠오르고 시간단위로 효율적으로 움직일

동선을 짜거나 계획을 세운다. 다들 그런편이 아니던가.

 

 

그러다 보면 피곤이 누적되고 긴장이 풀어지지 않는 나날들이 늘어난다. 혹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늦어지거나 실패한다면 그야말로 불면의 밤들이 이어질테고 아주 오랫동안 스스로를 자책하는 날들이 이어질 것이다. 내 완벽주의는 유전된 것일까. 아님 후천적으로 길들여진 것일까.  대답하기 어렵다.

 

 

완벽주의자들이 스스로 피곤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주변인들에게 긴장감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마음이 불편해지기도 한다. 특히 완벽주의자들이 리더인 경우라면 더할 것이다. 다리가 짧아 따라오지 못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니던가.

그럼에도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의 완벽의 넘어 상대까지 완벽해지기를 바란다.

 

 

완벽주의자들은 대체로 이기적이도 자존감은 높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완벽함' 뒤에는 엄청난 에너지와 긴장과 두려움이 뒤따른다는 것을 나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나는 실패하면 안되는 사람이라는 스스로에 대한 강박이 나를 엉뚱하게 소모시키고 있지는 않은지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내가 죽은 뒤에 가까운 이들이 나를 어떻게 기억해주기를 바랄까?'

참 심오한 질문이 아닐 수 없다.

 

 

'완벽함'을 추구하기 위해 스스로를 철장안에 가두고 살아가는 것은 아닌가? 라는

질문에 당황스럽다. 내가 철장안에 갇혀 살고 있다고?

어떤 의미에서 맞다. 저자의 말처럼 부모의 특별한 양육이 나를 그렇게 만들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결국 내가 살아온 삶도 살아갈 삷도 내 선택이 아니던가.

 

분명 젊었을 때 보다는 좀 느긋해지긴 했다. 하지만 근본이 완전히 바뀐 것은 아니다.

나의 이런 완벽에 대한 추구는 가족들도 힘들게 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그런 나를 되돌아보게 하고 점검하게 하고 내 가치를 그런 완벽함의 지수로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당신이 만들고자 하는 삶은 어떤 삶인가?'

저자가 던진 이 질문에 오늘 밤 또 많은 생각으로 잠을 설칠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나를 좀 편안한 세상으로 꺼내줄 안내자를 이제서야 만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