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임 머신 - 수치심이 탄생시킨 혐오 시대, 그 이면의 거대 산업 생태계
캐시 오닐 지음, 김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임머신: 불안감, 자기혐오에 기반한 수치심을 이용해 제도적, 상업적 이윤을 취하는

시스템 사람이라면 누구나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물론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같은 인간들을 제외다.

 


 

 

저자 역시 비만으로 수치심을 느꼈었고 다이어트 실패로 정신적인 문제를 겪었다고 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비만, 다이어트로 고민을 하고 수치심을 느꼈을 것이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이고 그 굴레에서 벗어날 확률은 아주 희박하다는게 문제이다.

비만 뿐만이 아니고 알콜이나 약물중독, 가난, 인종차별등등 인간이 수치심을 느끼는 분야는 너무 많다. 누군가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문제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치명적인 수치심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수치심은 인간이 선택해서 느끼는 감정이 아니다. 수치심을 느끼고 난 후 사람들은

자기합리화를 하거나 숨거나 도망치는 등 여러가지 형태로 감정을 드러낸다.

수치심은 긍정적인 느낌보다는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데 요즘처럼 SNS가 일상인 시대에서 극단의 혐오가 대중들에게 빠르게 확산되고 누군가는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한다.

또한 그 수치심을 이용하여 거대 산업 생태계가 탄생되기도 한단다.

 

 

하지만 나는 그런 사회적 흐름에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 아마 둘 다 일것이다.

저자는 이런 사회의 모순점에 서있는 두 방면의 사람들을 잘 소개해주고 있다.

통계에 익숙한 수학자가 보는 수치심의 정의와 사례들은 무엇을 얘기하려고 하는 것일까.

 

 

성형을 하는 병원이 늘어나고 다이어트약이 넘치는 사회! 바로 수치심을 이용한 산업 생태계의 모습이다. 저자는 수치심이 열등감으로 이어지고 결국 실패자로 낙인 찍히는 현실을 고발하고 그런 함정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가난이나 약물중독같은 경우는 정부의 계획이 필요하다. 빚을 탕감해주거나 약물중독 프로그램을 현실화해서 많은 사람들이 수치심에서 벗어나게 도와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군중심리에 동참해서 남을 비방하고 삶을 방해하는 가해자가 되어서는 안된다.

나도 언제든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도 수치심을 아는 인간은 기회가 있다는 뜻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조언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