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를 위한 도시는 없다 - 처음 만나는 페미니스트 지리학
레슬리 컨 지음, 황가한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리함이 가득한 도시 한복판에 서있다고 가정해보자.

잘 정비된 도로, 번듯한 빌딩들, 가까이에는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정거장 푯말이 보이고

요즘에 특히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어 자전거들도 도심을 가로지른다.

 


 

하지만 내가 힘없는 노인이나 장애이이라면 결코 편리함을 다 누릴수 없다.

휠체어가 다닐 수 없는 울퉁불퉁한 보도블럭, 계단, 빠른 신호등등.

이런 문제는 늘 제기되어왔고 일반인들도 많이 불편하겠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성이라는 관점으로 도시를 다시 들여다본다면?

장애도 없고 임신도 하지 않고 건강한 여성이라면 그닥 불편함이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가 실제로 임신을 한 상황에서 겪은 도시의 모습은 퍽이나 불합리하다.

요즘 우리나라는 버스나 지하철등 대중교통이용시 임신부를 위한 좌석을 배치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가 살던 시기 캐나다외 많은 국가들이 이런 배려가 없었던 모양이다.

그렇다면 특히 배가 나오지 않은 초기 임신부라면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장실만해도 그렇다. 남녀 같은 크기의 화장실은 늘 여자화장실에 줄을 서게 만든다.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 집에 가야하는 직장여성들, 한적한 공원에서 조깅을 하는 여성들.

아이를 태운 유모차를 몰고 마트에서 시장을 봐야 하는 여자들.

과연 모두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리면서 살아가고 있을까.

매일 보도되는 수많은 뉴스중에는 성폭력이나 스토킹,학대와 같은 여성피해자가 등장한다.

CCTV의 등장이 그나마 여성을 보호해주는 장치라면 다행이라고 여겨야 하는 것일까.

 


 

비유적인 표현으로 '유리벽을 깬다'는 말이 있다. 여성들이 넘지 못했던 금기의 벽들을

무너뜨렸을 때 하는 소리다. 그만큼 아직 세상은 깨지지 않는 유리벽이 엄청나게 존재한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유리벽보다 더한 유리벽은 바로 우리가 매일 부딪히는 도시 한가운데에 있다. 그러고보면 도시를 설계할 때에는 거의 남자들이 참여한다.

그러니 도시자체가 남성중심적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런 문제를 여성의 시각으로 본다면

도시의 모습은 사뭇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벽돌, 유리, 콘크리토로 만든 도시 자체가 '가부장제'라고 말은 극단적 표현이긴 하지만

딱 맞는 소리이다. 공정한 성평등은 도시설계부터 다시 살펴봐야 한다는저자의 말에

적극 공감하게 된다. 여자가 행복해야 도시가 행복하고 나라가 행복하다는 걸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