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백만장자 (골드 리커버 에디션) - 푼돈이 모여 어마어마한 재산이 되는 생생한 비법
토머스 J. 스탠리.윌리엄 D. 댄코 지음, 홍정희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생전 '부자'라는 소리를 들어보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부자는 커녕 중산층이라는 생각조차 해보지 못했다.

뭐가 문제였을까. 부자 부모를 두지 못해서? 부동산이나 주식을 하지 않아서?

 


 

이 책에 그 해답이 있었다. 1천 명의 부자들을 추적 조사하는 믿을만한 과정을 통해서 얻은 통계는 반박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심지어 미국내에 있는 부자들의 종족까지 세분화한 것을 보고는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다.

민족적으로 부자가 될 '상'이 따로 있다는 소리니까. 러시아가 1위, 뒤를 이어 헝가리계나 스코틀랜드계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한국계는 없다. 쯥.

 


 

무엇보다 전형적인 미국 백만장자의 모습이 이체롭다. 평균연령 57세이고 학력이 높은 편이고 교육의 중요성을 깨우친 편이다. 가장 충격적으로 다가온게 바로 '구두쇠'라는 것이었다.

 


 

하긴 워렌 버핏이 맥도날드 햄버거로 점심을 먹고 심지어 쿠폰을 이용해서 빌 게이츠의 점심값을 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가 사는 집도 비싸지 않은 평범한 주택이었고 정작 자신은 사치를 하지 않고 검소하게 사는 모습에서 그가 과연 백만장자가 맞는가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빌 게이츠와 더불어 기부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야말로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쓰는' 진정한 부자인 셈이다.

 


 

최근에 차를 새로 산 나는 부자들의 차 사는법에 대한 글에서 많은 감동을 받았다.

의외로 부자들이 수입차나 비싼차를 선호하지 않았다. 오히려 2~3년 되는 중고차를

그것도 아주 오랜 시간을 들여 더 싼 차를 찾아내고 비교하는 장면에서는 왜 부자가

될 수밖에 없는지 실감하게 된다.

 

부자들이 갖고 있는 카드는 몇 개이고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하는지 그리고 돈을

어떻게 주고 있는지를 보면 우리와는 다른 사고를 지니고 있었다.

돈을 자녀에게 물려주기 위해 법을 어기면서까지 부를 대물림하는 우리나라의

부자들과는 다른 모습에 존경의 마음까지 든다.

 

'부자가 되는 비법은 소득이 아닌 소득에 있다'라는 말이 남는다.

어떻게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쓸것인가에 대해 많이 생각해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