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크리스마스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3
쥬느비에브 브리작 지음, 조현실 옮김 / 열림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굳이 크리스찬이 아니더라도 크리스마스는 전세계인들의 축제이다.

오랫동안 떨어져 있던 가족들이 모여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사랑을 주고 받는

그런 축일. 하지만 모두가 다 즐거운 크리스마스를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들 하나를 키우고 있는 싱글맘 누크 역시 크리스마스가 다소 버겁게 느껴진다.

애늙은이 같은 아들 으제니오는 동물들에게 관심이 많아 고양이를 키우고 싶다고

하거나 카나리아를 키우고 싶다고 한다.

하지만 고양이는 며칠만에 죽어버렸고 카나리아 역시 두 마리중 한 마리가 죽었다.

잘못 키운 탓일까? 누크는 이 모든 일들이 자신의 잘못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당황스럽고 버겁다.

 


 

잘 나가는 화가였지만 누크는 붓을 놓고 도서관 사서가 되어 아이를 키우고 있다.

성공이 버거웠던 것일까. 아니면 가장 빛날 때 떠나고 싶었던 걸까.

으제니오는 늘 아빠를 그리워한다. 그래서 동물을 더 사랑하는지도 모른다.

홀로 아들을 키우는 것은 휘황찬란한 불빛이 번쩍이는 크리스마스 무렵의 도시처럼

낯설고 위축된다. 그래서 더 아이에게 다가가려 하지만 결과는 늘 신통치 않다.

 


 

아이를 위해 새를 사고 워터파크를 가고 크리스마스 요리를 사기 위해 백화점 식료품

코너를 가도 왠지 어설프고 변방인처럼 느껴진다.

아이는 크리스마스트리를 세우고 싶어하고 선물을 기대하는데 누구에겐가 너무도

당연한 크리스마스의 풍경들이 누크는 맞지 않은 옷을 입은 것처럼 불편하다.

초대할 손님도 없고 아들과 쓸쓸히 보내야 하는 크리스마스이기에 더 외롭다.

 


 

그래서 마르타의 초대에 응했을 것이다. 적어도 덜 외로운 크리스마스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니까. 하지만 역시 모든 가족이 모인 그 초대에 누크와 아들은 이방인처럼

섞이지 못한다.

 

불과 나흘간의 이야기에서 홀로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마음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그것도 가장 즐거워야 할 크리스마스 무렵의 누크는 기대에 찬 아들의 마음을 맞춰주려고 동분서주하지만 자신은 이제 더 이상 행복할 가능성이 있는지 되묻는다.

왜 이 축복받은 크리스마스가 누크에게는 더 외롭기만 한 것일까.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 온 동네가 필요할만큼 많은 도움이 필요한데 누크는 오로지

혼자 힘으로 아들을 키우고있다. 나흘간의 스토리에서 쓸쓸한 싱글맘의 아픔이 잘 드러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