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어가는 중입니다 - 매일 도망치기 바쁜 멘탈 개복치의 일상 극복 에세이
베스 에번스 지음, 이은숙 옮김 / 마시멜로 / 2021년 8월
평점 :
절판


어른의 정의는 '다 자란 사람'이다.

다 자랐다는건 무얼 말하는걸까. 키? 마음? 둘다?

어쨌든 우리는 여러의미의 어른을 생각한다.

만 20세가 넘으면. 혹은 대학을 졸업하고 독립을 하면. 어쩌면 결혼을 하는 순간?

 

 

때로 그 모든 걸 뛰어 넘은 사람들 중에도 어른이 되지 못한 사람도 있으니 딱 정의하긴 어렵다. 어쨌든 막연하게나마 경제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완전하게 독립한 경우를 어른이라고 생각해보자. 과거 보다는 분명 풍요로운 시대를 살고 있지만 완전한 어른이 되는 일어 더 어려워졌다고 생각한다. 나이는 먹어가는데 캥거루처럼 부모의 보호 주머니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는 젊은 청년세대들이 많아져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저자를 보면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예민하고 불안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이 두렵고 누군가 자신을 비교한다고 생각하고 지나간 일들에 대해 생각하고 생각하면서 놓여나질 못한다. 정도의 차이일뿐 많은 사람들이 이런 상황을 겪는다.

 

 

결국 잠들지 못하고 잠자고 있는 부모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치유의 길을 찾았다.

저자의 경우같은 감정의 혼란들이 더해지면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지 모르겠다.

상담가를 찾아가 상담도 해보고 여기저가 조언을 듣기도 했지만 결국은 자신을 정확히 보고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어'.

맞다. 돌아보면 내가 걸어온 시간에도 실수와 실패의 연속이었다.

어려서는 '어른'만 되면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을 것이라고도 생각했다.

하지만 제대로 '어른'이 되었는지도 모르겠고 어른 노릇도 제대로 해냈는지도 모르겠다.

 

귀여운 일러스트와 더불어 내가 지금 잘 살아가고 있는지 제대로 된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지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길 권한다.

코로나 블루시대에 감정적으로 힘든 사람들이 많다. 실제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오히려 '어른'이라는 틀에 갇혀 손을 내밀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부끄러운 일도 아니고 서로 도와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다.

혼자만 끙끙 아플 것이 아니라 똑바로 자신을 바라보는 일에 도움이 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