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가 알려주는 가장 쉬운 미분 수업 - 미분부터 이해하면 수학공부가 즐거워진다
장지웅 지음, 김지혜 감수 / 미디어숲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도 수학얘기만 나오면 골이 아프다. 학교때 성적을 보면 가장 꼴찌가 바로 수학이었다.

특히 미분이나 적분같은 것이 나오면 도대체 인생을 살면서 저 미분과 적분이 왜 필요해?

라고 분노했었다. 지금도 미분은 거의 모른다.

 

 

나같은 수포자도 단숨에 이해하는 '미분 따라잡기'라니...정말?

 


 

 

대학을 졸업할 무렵에서야 수학에 매력을 느껴 고등학교 수학책으로 공부해야 할

미분의 70%를 소화할 수 있게 풀어놓았다고 한다.

나야 이제 대학에 입할할 일도 없고 혹시 노인대학에서 굳이 수학시험으로 입학을

허가한다면야 다시 수학책을 펼쳐보겠지만 혹시 알겠는가.

늘그막에 손자녀석이 슬그머니 수학책을 디밀면서 알려달라고 할지.

 


 

 

하긴 모든 학문의 기초는 수학이라고 들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어려워한다. '미분'이라는 이름도 예쁜 이 학문이 도대체 왜 어려운 것일까.

 


 

 

미분은 우리몸의 혈관처럼 서로가 서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

삼차함수, 삼차방정식, 로그방정식, 로그함수등...

수학자들에게 미분은 분명 매력적인 학문이 틀림없는 모양이다.

 


 

 

저자는 이 미분으로 들어가는 문이 수학을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문이라고

단언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미분개미'라는 가상의 도구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마치 한 편의 시를 번역하듯이, 미술작품을 감상하듯이 '미분개미'를 따라가다 보면

정말 수학이 좋아질 것만 같다.

 

오래전 아들을 교유시키면서 아 엄마도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겠구나 생각했었다.

초등학교 4학년 이후 과목들은 거의 엄마가 카바하기 어려웠다.

이제 과거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던 미분과의 만남을 이어봐야겠다.

굳어진 뇌가 반짝반짝 살아날 수도 있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