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역사가 되다
최문정 지음 / 창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정의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이나 대상을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이라는 사전적 의미로는

그 깊이를 헤아릴 수없다.

사랑이 역사가 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운명적이었다거나 비극적인 경우일 것이다.

사람들은 아름다운 사랑보다는 비극적인 사랑을 더 많이 기억한다.

다만 비극적 사랑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사랑이 비극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운명처럼 찾아온 사랑에 충실하게 살다가 갔을 뿐이라고.

 


 

아름다운 시를 썼던 엘리자베스 베넷 브라우닝의 삶은 사랑을 만나기 전까지 너무

불행했었다. 여성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시대였고 그녀는 병약했으며 시한부 삶은

고단하기만 했다. 그녀의 시를 보고 열렬팬이 된 로버트의 사랑은 헌신 그 자체였다.

수없이 오간 두 사람의 편지는 사랑을 더 열정적으로 키웠지만 그녀는 그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그에게 행복한 가정을 꾸며줄 수 없었기에.

하지만 결국 부부가 되었고 기적같이 아들도 태어났다. 사랑이라는 묘약은 그녀의

삶을 연장시켰고 하늘로 돌아가는 날까지 '행복'을 선사했다.

 


 

영국을 한 때 '빅토리아시대'라고 불리게 만든 빅토리아 여왕의 사랑도 그러했다.

해가 지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번영했던 나라의 여왕이었고 평생 자신의 소신을 굽히는

법을 알지 못했던 여왕의 뒤에는 앨버트가 있었다.

여왕의 남자가 된다는 것은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다.

마치 근위병처럼, 비서처럼, 집사와 같이 여왕을 보필하면서 빅토리아와의 사이에 낳은

9명의 아이까지 키워야 했다. 빅토리아 시대의 빛나는 시간뒤에는 앨버트란 남자가

있었던 것이다. 앨버트와 빅토리아는 사촌간이었지만 그들의 사랑은 진심이었던 것같다.

앞에도 말했지만 완벽한 사랑이란 어쩌면 '헌신'이나 '배려'같은 것들이 함께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세기의 사랑이라 불리는 에드워드8세와 심프슨부인과의 스토리도 그렇다.

심지어 남자라면 절대 포기하지 못할 '왕위'까지 내려놓으며 선택한 사랑의 크기를

어떤 저울로 잴 수 있을까.

바람둥이 였지만 미혼인 왕세자. 한 번 이혼했고 유부녀였던 윌리스 심프슨.

소설에서나 등장할 법한 이 사랑에는 혹시 왕이 될지도 모를 남자를 유혹하여

왕비가 되고 싶었던 여자의 욕망이 섞여있지는 않을까.

누가 알겠는가. 에드워드8세는 잘생기고 패셔너블한 남자였고 심프슨은 그런 남자가

왕위를 포기하고 싶을만큼의 미모도 가지지 못했는데 말이다.

 


 

아나키스트였던 박열을 사랑했던 일본 여성 가네코 후미코.

영화로도 만들어져 알고 있던 얘기지만 그녀가 스무 살에 감옥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는 몰랐다. 사형을 언도받았던 박열이 먼저 죽을 줄 알았는데 그 뒤 석방되어

다른 여자와 결혼도 했단다. 자신에게 무관심했던 부모는 어린 그녀를 외롭게 했고

그렇게 자라서 만난 첫 남자 박열은 그녀의 모든 세상이었을 것이다.

서로 다른 감옥에 떨어져 있었지만 어쩌면 좋은 세상이 찾아와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었을텐데. 마치 평생 우울증을 앓다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던 버지니아 울프처럼

어둔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끝내버리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이미 세상을 떠났지만 그들의 삶은 역사로 남았다.

병약한 몸을 가지기도 했고 평생 우울증을 앓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치열했고 아름다웠다. 그래서 역사로 남았다.

그러고 보니 내가 사랑이라고 여겼던 지난 시간의 감정들은 너무 소소해보인다.

소설같은 이들의 사랑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