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매, 밥 됩니까 - 여행작가 노중훈이 사랑한 골목 뒤꼍 할머니 식당 27곳 이야기
노중훈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TV에서 연일 맛집이 등장한다. 화면에 나오는 사람들이 하나같이 하는 말이 똑같다.
"어렸을 적에 할머니가 해주셨던 그 맛이에요" 할머니 대신 엄마가 들어가기도 하지만.
'원조'라고 이름 붙인 맛집들은 하나같이 '할머니'집이라고 선전한다.
왜 우리들은 '할머니 집'에 열광하는가. 사실 '엄마'보다는 '할머니'의 사랑이 더 절대적이다.
우쭈쭈 하는 할머니의 투박한 손맛이 그리운 시절이 되었다. 화려하고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진
손자들도 때로는 담백하고 투박한 할머니의 맛이 그리워지는 그런 시대.
마흔이 훌쩍 넘은 저자의 '할머니 밥상 여행기'에 왠지 보글보글 된장찌개 냄새가 나는 것 같다.
그냥 장맛이 좋아서 뭘 많이 넣지 않아도 그 자체의 맛으로도 입도 마음도 푸근해 지는 그런 맛!
어딘가에 몰래 숨어있는 할머니의 맛집을 찾아 어슬렁 거리는 하이에나의 근성이 느껴진다.
그가 소개한 할머니집들에는 화려한 간판도 없다. 어서오라기보다는 웬만하면 오지말라는 집 같다.
테이블도 적고 의자도 적어서 아예 손님이 많이 드는 걸 저어하는 것 같다.
그럼에도 집구석에만 박혀있으면 아프고 무료해서 할 수 없이 열어놓고 있다고 대놓고 말하는 그런 집들.
직접 담근 장으로 찌개를 끓이고 나물을 무쳐내고 가격은 또 어저면 그렇게 소박한지.
돈을 벌겠다기 보다 지금껏 그래왔던 것처럼 배고픈 객들 배불리 먹이고 평생 업도 다 씻고 훌훌
저승길 가겠다는 다짐이 느껴진다.
딱히 레시피랄 것도 없는 솜씨인데 왜 끌리는 맛이라고 할까. 두런두런 나누는 말들이 감칠나고
살아온 인생에 감동받고 그런 할머니의 손맛이라 더 맛있다고 느껴진 것일게다.
그런 맛을 알아보는 사람들이 더 놀랍다. 반기지도 않는 가게에 쭈뼛쭈볏 들어가서 눈치보면서
주문을 해도 황공해하는 저자같은 사람들은 딱 저같은 사람들을 알아본다.
물욕보다 사람욕심이 많고 의리를 목숨처럼 여기는 그런 사람들을.
사람욕심보다 더 큰 욕심이 먹탐이다. 그가 지나간 밥상은 초토화된다.
바로 위 사진처럼 말이다. 음식물 쓰레기 남길 것도 없고 설거지도 편하니 환영받을 손님이긴 한데 재료비가 좀 많이 들어가는 손님이라 이문이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또 퍼주고 또 퍼주는 그런 할머니들의 사랑에 아주 많이 행복한 여정이었다.
재개발로 사라지기도, 이제 힘이 부쳐 사라지기도 할 그런 할머니의 가게에 또 가보고 싶어진다.
우선 가까운 삼태기 도너츠가게부터 시작해볼까나.
여행작가이며 방송인인 작가의 여정은 따뜻하다. 이제 할머니들이 다 떠나고 나면 '이모 밥 됩니까'하고 또 여기저기 쑤시고 다닐테지. 나도 묻어가고 싶다. 미리 연통좀 넣어주시면 감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