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를수록 좋다 - 나다움에서 창의성이 나오는 이유 아우름 44
김명철 지음 / 샘터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나는 머리가 좋은 사람인가 생각할 때가 있다.

머리가 좋다는 정의는 단순히 공부를 잘하는 능력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창의적인 생각이나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 대처법같은 것까지를 포함하는

아주 넓은 의미의 사회성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난 그리 머리가 좋은 편은 아니다. 유전적으로 타고나지 못했는지

그동안 노력을 하지 않았는지는 모르지만 후세에 남길 업적 하나 건진 적이 없으므로

난 그저 평범한 사람임을 인정해야겠다.

 

                      

하지만 세상은 능력있고 머리가 좋은 사람들만으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연구실에 앉아서 백신을 개발하여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환자들이 버린

쓰레기를 치워야 하는 사람들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서로가 서로를 받혀주면서

돌아가야 세상은 안정적인 세상이 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전하는 의미는 상당하다. '다를수록 좋다'

책의 머리에 똑똑한 일가족 이야기가 핵심이다. 이 똑똑한 가족은 인류의 멸하지 않고 번성하는데

자신과 같은 클론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그렇게 했다. 하지만 자신과 똑같이 생각하는 클론들은

전혀 창의적이지 못한 채 몰락한다. 똑같은 생각만으로 세상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인류가 지금처럼 번성할 수 있었던 것에는 당연히 '창조적인 사고'가 기여를 했다.

하지만 이 창의적인 사고를 했던 사람이 모두 머리가 좋았다거나 리더쉽이 있었다는 것은 아니다.

소심한 사람이든 게으른 사람이었든 다양한 삶을 사는 사람들의 경험이나 필요같은 것들도

분명 기여를 했다. 이 점에서 저자는 다를수록, 다양한 삶을 사는 사람이 많을수록 성공요인이

많아진다고 정의한다.

 

                         

중국이나 일본, 러시아의 틈새에 끼인 한반도에 사는 우리 민족은 그야말로 대단한 민족이라고 생각한다.

수많은 침략을 물리치고 지금의 번영을 이루는데는 우리만족만의 강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결국 다양한 삶의 궤적이나 경험을 세상에 끄집어내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 아닐었을까.

코로나사태로 전세계가 충격에 빠져있는 요즘 우리는 차분하게 사태를 잘 수습하고 있다.

'빨리빨리'라는 놀림도 받지만 '드라이브 스루 검사'같은 기발한 생각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신속한

대처법을 잘 설명하고 있다. 역시 뿌듯한 점이다.

 

                               

성격이 급한 사람에게도 느긋한 사람에게도 배울 점들은 분명 있다.

어쩌면 내 안에도 좋은 점이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 우리 부부의 경우 너무 다른 점이 많아서 싸울 때가 많다. 하지만 같은 성격이었다면

더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다르다고 해서 답답해하지 말고 다른 점에서 배울 점을 찾아가는 것이

현명한 삶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