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이 없는 게 아니라 꺼내지 못하는 것입니다 아우름 42
김경일 지음 / 샘터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텔말라에서 열 한번째로 큰 도시는 어디일까요?"라고 물어온다면 나는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우리나라에서 열 한번째로 큰 도시도 모르는데 과테말라라는 나라의 도시를 내가 어떻게 알아.

분명 나는 "몰라요"라고 대답하고 저자가 말한 것처럼 휴대폰을 들고 검색을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은 어떤 도시를 알고 싶은게 아니라 이렇게 잘 알지 못하는, 친숙하지

않은 나라의 도시를 맞혀보라는 질문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보고 싶은 것이다.

 

20200123_183154.jpg

 

내 능력과 내 지식과 내 힘을 보는 또 다른 나의 눈, 즉 메타인지도를 보기위한 질문이라는 것을

알게되면 내 무식이 조금쯤 위안이 되기도 할 것 같다.

내가 잘 모르는 것에 대해 빠르게 모른다고 대답하는 그 자체가 이미 메타인지도가 높다는 뜻이란다.

흠 검색의 도움없이 내 능력만으로 도저히 풀지 못할 것을 아는 것도 '힘'이 된다는 뜻인가.

 

20200123_182158.jpg

 

이 책의 저자는 많은 프로그램에서 유쾌한 모습으로 강의를 하던가 대담을 했던 바로 그 심리학자다.

스스로 '인지심리학자'라고 말하는 저자는 인간 생각의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이라고 한다.

일반 심리학자보다 더 깊은 심연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사람이라고나 할까.

 

20200123_182621.jpg

 

저자의 말처럼 '창의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고 상황이 만들어내는 능력이라는 것일까.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떤 상황'이 될 때 자신도 모르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한다.

그렇다면 내가 '그 어떤 상황'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야 하는걸까.

 

20200123_183027.jpg

 

이렇게 창의적인 사람들, 메타인지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중에는 이타적인 사람이 많다는 것에

관심이 생긴다. 대개 공부좀 잘하는 사람들은 이기적인 경우가 많은데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아니고 창의적인 사람인 경우에는 남을 돕고 배려하는 그 마음에서 이미 창의성이 발휘되고 있다고 보는 것 같다.

그리고 창의적인 힘을 이끌어내기 위해 책을 많이 읽어야 하고 특히 시를 많이 읽어야 도움이 된단다.

흠 오늘부터 서점에서 시집이 많이 팔리는 것이 아닐까.

책을 읽었다기 보다 재미있는 강의를 들은 느낌이다. 저자의 목소리가 생생히 내 마음까지 전달되는 느낌은 아마 이 책을 읽는 많은 독자들이 공감할 것 같다.            

여러가지 실험을 했던 데이타의 결과들을 보니 정말 이 심리학자는 인지심리학자가 맞는 것 같다.

그가 만약 어떤 질문을 해온다면 나는 생각 좀 해보고 답을 말해야겠다. 창의성 부족한 사람이라는 부끄러움을 들키지 않으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