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이탈리아의 피렌체 공화국에 메디치가는 세계사에 큰 족적을 남긴 가문이다.
금융업으로 부를 축척하여 국가의 실질적인 통치자였으며 르네상스시대를 이끈 주인공이었다.
그 메디치가의 인물들이 하나 둘 사망하고 마지막 혈통을 이은 인물이 바로 카트린느 메디치다.
정치적인 소용돌이속에서 생명의 위협을 느껴야할만큼 위기가 다가오자 삼촌인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카트린느를 프랑스의 앙리2세와 정략결혼을 시킨다.
그렇게 프랑스의 왕비가 된 카트린느는 남편의 정부 디안에게 밀려 사랑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녀의 아들들은 프랑스의 왕이 되어 그녀의 욕망을 채워주었다.
이 소설은 카트린느의 아들 프랑수아 2세에 이어 왕위를 물려받은 그녀의 차남 샤를르 9세와
그의 뒤를 이을 왕권을 누가 차지하는가를 다룬 서스펜스한 역사소설이다.
정통 프랑스왕조는 구교인 카톨릭을 신봉하는 국가였고 프랑스령인 나바르는 신교를 믿었었다.
이 나바르의 왕인 앙리는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마그르니트와 정략결혼을 하지만 앙리는 사랑하는 여인 샤를로트가 있었지만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어쩔 수없이 결혼을 선택하고 만다.
그리고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로 일컬어지는 결혼식 날 밤 카트린느는 위해 결혼식에
참석하러온 신교도인들을 학살하고 모든 죄를 앙리에게 덮어 씌운다.
사실 카트린느의 목적은 딸인 마그르니트를 이용하여 사위인 앙리를 제거하는데 있었다.
얼핏 이 사건은 카톨릭을 위협하는 신교도인들을 제거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눈에 가시같은 앙리를 제거하기 위해 카트린느가 계획한 사건이었지만 마그르니트의 도움으로 앙리는 목숨을 구한다. 그리고 카트린느의 아들이면서 프랑스의 왕인 샤를르 9세는 앙리를 좋아했기에 어머니인 카트린느의 모함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그를 보호하려고 한다.
과거 유럽에는 사형집행인이 사형집행뿐만 아니라 의사역할이나 주술사로서의 역할도 대신했었다.
카트린느는 이미 주술사인 르네에게 독을 처방받아 앙리의 아버지를 독살하였고 점성술을 통해
샤를르 9세의 뒤를 이을 왕이 앙리라고 나오자 그를 갖은 방법으로 죽이려고 한다.
하지만 정말 하늘의 뜻이었는지 앙리는 그 때마다 목숨을 구하게 된다.
이 소설이 쓰여진 시기는 1800년대 중반이다. '몽테크리스토 백작'과 '삼총사'의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는 역사적인 사실에 기초하면서 음모와 사랑, 그리고 우정을 기가 막히게 버무려 놓았다.
당시 프랑스 왕가뿐만 아니라 유럽의 사회적 풍토는 정실 외에 애인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 같다. 마그르니트의 남편이면서 후에 프랑스왕이 되는 앙리 역시 아내는 그저 정치적 동지일 뿐 사랑하는 여인을 따로 두고 있었으면 마그르니트 역시 잘생긴 라 몰 백작과 사랑을 나눈다.
지금의 도덕적 잣대로는 이해되지 않는 시대상이다.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 위해 자식을 도구로 이용하면서 살인도 서슴치 않는 카트린느의 악행은
메디치가의 끈질긴 속성을 드러낸다.
서로가 왕이 되기위해 때로는 연합하고 때로는 배신하는 장면들은 역사속에 너무 많이 등장하는
장면이다. 앙리가 카트린느의 위협을 피하는 장면들은 손에 땀을 쥐게한다.
과연 카트린느의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
프랑스왕조의 영광과 실패를 다룬 이 소설에서 당시의 프랑스 모습이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모든 전쟁이 거의 그러하듯 종교는 역시 인류의 악을 촉발시키는 도화선이 되고 인간들은
무모한 욕망을 위해 죽음도 불사한다. 어찌보면 어리석은 야망이지만 인류는 그렇게 진화해왔다는 것이 명백하다.
밀서와 독약 그리고 주술과 배신들이 교차하는 아주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200여년 전에 씌여진 소설이라고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스피디하고 스릴이 넘치는 장면들이
넘쳐난다. 역시 알렉상드르 뒤마다운 전개였다.
어쩌면 정말 당시의 루브르 궁에서는 이런 장면들이 실제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교활하고 집념이 강했던 카트린느 메디치는 자신의 욕망을 이루었을까. 그랬다면 그녀의 인생은
행복했었는지 묻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