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대립 속 실제로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대한민국이 지금 이 시간에 오기까지 가장 오랫동안 왕조를 유지한 것은 조선이었다.
막연하게 조선이란 나라를 생각하면 '당쟁'이 먼저 떠오를만큼 지긋지긋한 당파싸움이 떠오르는데 그런 조선의 광풍같은 시간들이 인류의 역사에서 제법 오래 유지되었던 왕조라 해서 놀랐었다.
내가 많이 좋아하는 신병주교수의 책이라 더욱 애정을 가지고 꼼꼼히 살펴보게 되었다.
고려 말 조선이 태동되던 시기부터 정조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국운에 깊이 관여되었던 참모들의
이야기가 소상하게 기술되어 있었는데 처음 듣는 이름도 있어서 나의 역사지식이 이정도인가
싶었다.
참모였던 정도전이 없었다면 조선은 과연 탄생될 수 있었을까. 고려 말 이미 국운이 쇠하여 새로운 국가에 대한 열망이 피어나고 있었고 그 중심에 정도전이 있었다. 결국 무신중 가장 싹이 보였던 이성계를 선택한 것도 그였다. 이씨 조선이 과연 이씨 만의 조선이었던가 늘 나는 정도전이 없는 조선은 없었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도읍을 정하는 것 부터 궁궐을 짓고 법전을 편찬하는 그 모든것이 정도전의 작품이었다. 조선이 그의 나라라고 말한다면 너무 극단적인 표현일까.
하지만 '왕은 하늘이 낸다'는 말에는 동의한다. 형제들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아들을 죽이기 위해 함흥에서 내려온 이성계가 태종의 참모였던 하륜의 기지로 목숨을 구하자 '하늘의 뜻이로다'하고 했던 말에 동의한다. 한 국가의 왕이 되는 것이 순전히 왕의 능력만이 아니었음은 후에 반정들에 의해 추대된 왕들을 보면 증명이 된 것이 아닐까.
조선의 왕들 중 가장 성공한 왕을 꼽으라면 나는 세종과 정조를 꼽는다. 세종역시 형이 물려받아야 할 왕위를
물려받아 조선 초 나라의 기틀을 다잡았다. 그의 곁에 있었던 수많은 참모들을 보면 세종은 참 행복한 왕이었던
것 같다. 물론 사람됨을 알아본 리더쉽도 대단했지만 그가 머물던 시대에 수많은 능력자들이 같이했다는 것은
분명 행운이었고 '한글'의 창제는 지금 대한민국이 세계 강국으로 등극되는 기틀이 되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정조 역시 정약용을 만나 그나마 외롭고 처절했던 시간들을 극복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책에서 유독 내 눈을 끈 것은 외국에서 귀화한 충신들의 이야기였다. 임진왜란때 왜국에서 귀화한 사야가는 오랑캐 문화를 가진 일본에 태어난 것을 원통하게 여기다가 조선을 징벌하러 떠나는 기요마사의
군대를 따라와 바로 귀화를 청하였다고 한다. 참 대단한 안목을 지닌 왜인이었을 것이다.
더구나 말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전장터에서 공을 세우고 후손들에게도 충과효를 지킬것을 훈계하였다니 조선의
어지간한 충신보다 못할 것이 없는 인물이었다.
그러고 보면 내가 제일 싫어하는 조선의 왕 '선조'가 의외로 주변에 능력있는 인물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백성들에게 비웃음을 살 정도로 망신을 당하고 역사에 치욕을 남긴 것은 그가 아무리 주변에 인물들을 두었어도 자신이 됨됨이가 변변치 않으면 화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저자가 주로 거명한 참모들은 난세에 빛을 발한 영웅들이었다.
하지만 역사서에는 이들의 기록들이 정확하게 기록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워낙 당파싸움이 치열해서 사관이 어느 당파에 속하였는지에 따라 왜곡된 글을 실었다고 하니 참 비통하기
이를데 없다. 몇 번에 걸쳐 영의정에 오른 인물들도 유배를 밥먹듯 하고 심지어 부관참시를 당하는 수모를
당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조선에서 관료로 평생 아무 탈없이 참모로 대접받은 인물은 거의 없다고
본다.
왕이든 대통령이든 자신의 곁에 누구를 두어야 백성들의 삶이 편안할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게 진정한 리더쉽이 아닐까. 조식처럼 자신이 모시는 왕에게 할말은 좀 할 줄 아는 충신이 필요한 시대이다.
지금은 모두 역사속에 사라진 인물들이지만 지금의 대한민국이 오기까지 흔적을 남긴 참모들에게 다시 지혜를 구하는 시간이었다.